사진으로 보는 고구려 여전사 베스트 7
- - ☆ 詩폐라뮤지엄/삼국시대-우리 고구려 읽기
- 2025. 6. 19.
⚔️ 사진으로 보는 고구려 여전사 베스트 7 – 벽화 속 전사의 얼굴들
고구려는 전사국가로 유명하지만, 그 역사 속에는 여성 전사도 당당히 존재했습니다. 고분 벽화, 사서 기록, 그리고 고대 복원 연구를 통해 살펴본 고구려 여전사 7인의 모습과 그들의 전투 방식, 복장, 역할을 소개합니다.
1.옥저 방어전의 여궁수 – ‘벽화의 눈’이라 불리던 궁사
옥저 방면 방어 전투에서 등장하는 여궁수는 벽화 속 날렵한 눈매와 날아가는 화살의 궤적으로 유명합니다. 오방색 치마 위에 가죽 흉갑을 입고 있으며, 빠른 기동전에서 활약했습니다.
2. 백암성 탈환전의 창술 여성 – 강철의 선봉장
기마전 위주의 백암성 탈환 전투에 등장하는 여전사는 길고 얇은 창을 들고 말을 타고 있는 모습으로 복원됩니다. 어깨까지 내려오는 단단한 갑옷과 두건을 착용한 스타일이 특징입니다.
3. 주몽 호위대 출신 – ‘궁궐 여무사’ 설화의 주인공
주몽을 호위한 여성 무사들이 존재했다는 설화가 『삼국유사』에 간접적으로 남아 있습니다. 이들은 실내 근접전·비수 사용에 능했던 것으로 추정되며, 정제된 궁중 복식에 은으로 된 호신 장신구를 착용했습니다.
4. 고분 벽화 속 말 위의 여인 – 남성과 대등한 기병
안악3호분 벽화에 묘사된 말을 탄 여인의 모습은 단순한 기녀가 아니라 무장 기병으로 해석되고 있습니다. 강한 얼굴선과 완전무장한 체형은 전사로서의 상징성을 지닙니다.

5. 연개소문 북방원정군의 부대장 – 설화 속 호위대장
연개소문이 북방을 정벌할 때, 그의 측근 여성이 정찰부대를 이끌었다는 야사도 전해집니다. 짧은 허리 갑옷과 빠른 보병복장을 갖추었으며, 적군과 대면 시에는 철퇴나 곤봉류 무기를 사용했습니다.
6. 여성 장궁술사 – 백화궁의 장거리 궁술가
기록에 남아 있지는 않지만, 발사각과 거리 계산을 기반으로 한 장궁 사용자는 대개 여성이라는 설이 있습니다. 넓은 소매와 허리조임형 군복은 활 쏘기에 최적화되어 있습니다.
7. 야간 침투의 명수 – ‘그림자 속의 여무사’
고구려 정보부대 성격의 첩자·정찰 병력 중 여성들이 섞여 있었다는 설이 있으며, 야간 침투에 능했던 것으로 보입니다. 전신검은옷, 고무신 스타일의 무소음 전투화 등이 복원됩니다.
📌 정리: 고구려의 여성 전사, 사라진 전사의 절반
단순히 기생·귀족·무용수로 묘사된 것이 아닌, 고구려의 여성들은 국방의 최전선에서도 당당히 활약했습니다. 벽화와 유물 속 단서를 통해 복원되는 이들의 모습은 오늘날에도 깊은 울림을 줍니다.포스팅이 즐거웠다면 공감과 구독 부탁합니다.
#고구려여전사 #삼국시대전사 #여성기병 #여성궁수 #벽화복원 #고대전사복장 #3D역사복원
'- ☆ 詩폐라뮤지엄 > 삼국시대-우리 고구려 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구려 공동창업자이자 숨은 국모, 소서노 (0) | 2025.07.06 |
---|---|
고구려·백제·신라 특수부대의 정체 – 그들의 역할, 활동무대, 무력 그리고 현대 특수부대와의 비교 (0) | 2025.07.04 |
추모왕(주몽)의 고구려 최초 도읍지_졸본성은 환인 오녀산성이 아니라 중국 대륙 산둥성에 있었다! (0) | 2023.12.06 |
고구려 건국시조 고주몽 죽음의 미스터리_중국 왕망에게 처형당한 고구려후 추(騊)는 추모왕이었을까?유리왕일까? (0) | 2023.12.05 |
고구려 왕 계보 미스터리_유리왕은 추모왕의 진짜 아들이었을까? (0) | 2023.12.04 |
주몽이 계승한 숨겨진 고구려의 전신 고대국가 구려_700년 역사의 고구려가 아닌 900년 역사의 고구려를 발견하다 (0) | 2023.12.02 |
위대한 태양의 나라 고구려를 건국한 주몽_추모왕이 국호를 고구려라 이름 지은 의미와 뜻 (0) | 2023.12.01 |
만리장성보다 실용적이었던 고구려의 네트워크요새 천리장성 (4) | 2011.0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