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SMALL

한글2

매달리다 메달리다_우리가 몰랐던 알쏭달쏭 우리말 맞춤법 /우리가 몰랐던 알쏭달쏭 우리말 맞춤법/ 매달리다 메달리다 오늘은 우리가 너무나 익숙하고 잘 알고 있다고 믿고 있는 "매달리다와 메달리다의 차이점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문맹률 90%가 넘을 만큼 대한민국은 세종대왕님이 창제한 한글을 모르는 사람들이 없지만 성인 95.1%가 맞춤법이 헷갈린다고 할 정도로 한글의 맞춤법의 경우 자주 헷갈리는 맞춤법이 존재합니다.그 중에 오늘은 매달리다 메달리다 중 어떤 것이 맞는 말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결론부터 말한다면 메달리다라는 표현은 없다고 합니다. 즉, 우리가 어떤 것에 메달리다라고 쓰는 것은 잘못된 표현으로 매달리다로 써야 한다는 것입니다.매달리다는 어떤 것을 붙잡고 늘어지다는 뜻을 가진 동사로 주가 되는 것은 딸리어 붙다. 어떤 일에 관계하여 거기에만 몸.. 2020. 7. 20.
실화영화 말모이_자신의 언어를 잃어버린 민족의 우리말 모으기 대작전 /자신의 언어를 잃어버린 민족의 우리말 모으기 대작전/실화영화 말모이 우리들에게 한글은 어떤 의미인가? 조선의 천재 세종대왕이 창조해낸 자주적인 한민족의 문자이겠지만 어찌 생각해보면 일제강점기 시절 조선을 말살하려던 일제의 주된 목적이 바로 우리 글을 쓰지 못하게 하고 읽지 못하게 하는 것이었으니 우리말과 우리글이란 것은 그런 일제의 말살 정책에도 살아남은 생명력 질긴 생명체이기도 합니다. 일제 강점기 시절 총, 칼 들고 싸우던 이들만이 독립투사는 아니었습니다. 우리말 사전을 편찬하기 위해 13년이라는 시간을 일제의 눈을 피해 흩어져있던 순우리말들을 모으던 이들이 있었습니다. 우리에게 글이란 것은 공기처럼 있어도 그만, 없어도 그만인 것처럼 평상시에는 그 소중함을 체감하기 사실 쉽지 않은데 그런 의미에서.. 2020. 3. 24.
반응형
BIG

.myredbtn{ -webkit-text-size-adjust: 100%; word-break: break-word; background-color: #e00d0d; border-radius: 28px; border: none; display: inline-block; cursor: pointer; color: #faf8f8 !important; font-family: Arial; font-size: 20px; font-weight: 550; text-align: center; margin-left: auto; margin-right: auto; white-space: nowrap; padding: 10px 35px; box-shadow: 2px 4px 6px #646363; text-shadow: 0px 1px 0px #bb2154; width: 80%; height: 40px; line-height: 40px; overflow: hidden; transition: background 0.3s, transform 0.3s; text-decoration: none; } .myredbtn:hover{ transform: scale(1.05); background-color: #fc6565; text-decoration: underlin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