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 詩폐라뮤지엄/- 미스테리 뮤지엄(국내)

일제강점기 29명의 무고한 주민들을 살해한 제암리 학살사건_범죄에 공소시효는 필요 없다!

by 마음heart 2024. 4. 15.
728x90
반응형
728x170
BIG

일제강점기 29명의 무고한 주민들을 살해한 제암리 학살사건

범죄에 공소시효는 필요 없다!



일제강점기였던 1919년서 4월15일,경기도 수원군 향남면(현재의 화성시 향남읍) 제암리 교회에 아리타 도시오(有田俊夫) 일본 제국 육군 헌병 중위의 주도로 발생한 주민들을 학살한 사건으로 제암·고주리 학살사건으로도 불립니다. 이 사건으로 29명이 사망하고 민가 30여채가 불에 타버렸습니다.

제암리 학살사건( 提岩里教会事件(ていがんりきょうかいじけん), 提岩里事件(ていがんりじけん)

■제암리 학살사건_사건의 배경

1919년 3월1일,서울에서 만세시위운동이 일어난 가운데 제암리 인근의 개신교와 천도교, 유학자 지도자들이 만세시위운동을 계획하여 3월 30일(혹은 4월 5일)에 제암리 인근 주민 천여 명이 제암리 발안 장터에서 만세시위운동을 일으켰습니다.시위대가 일본제국 경찰 주재소로 다가오자 육군 헌병들이 출동해 경고 사격 후 칼을 마구 휘둘러 유학자 이정근과 그의 제자 2명이 칼에 맞아 사망했고 시위를 주도했다는 혐의로 천도교인과 기독교인 몇 명이 체포되어 고문당한 후 석방되었습니다. 사태가 이렇게 되자 격분한 주민들이 인근의 일본인 주택, 학교에 불을 질러 정미업자 사사키를 비롯한 수십 명의 일본인들이 대피했는데 사사키는 이에 앙심을 품고 스스로 자원하여 일본군 헌병의 길잡이 노릇을 하게 되었습니다.이에 일본은 철저한 초강경 진압 작전을 시작했는데 4월 2일 발안 장터 시위에 참여한 마을 주민들을 색출, 검거하기 위해 육군 헌병과 경찰 등으로 구성된 부대를 파병해 마을들을 습격하여 불태우고 주민들을 검거하기 시작했습니다. 일본 군경의 폭압에 제암리 인근 주민들은 더욱 격앙되었고 인근 화수리와 수촌리의 천도교와 기독교 지도자인 백낙열(白樂烈, 1865년 12월20일~1937년 1월4일)과 김교철(金敎哲, 1880년 7월27일~1954년 10월6일)그리고 주민들이 주축이 되어 4월 3일, 2차로 만세 시위가 일어났습니다. 이 과정에서 가와바타 도요타 순사가 귀가 잘리고 치아가 뽑히고 척추가 꺾일 정도로 곤봉을 두들겨 맞아 사망하였으며 일본인 남성 9명이 마을에 남기로 결정하고 40여명의 여성과 노인과 아이들이 산계리(三渓里)마을로 대피하였습니다.

■제암리 학살사건_사건의 전개

4월 5일, 일본 육군은 수촌리에 들이닥쳐 만세시위 주동자를 색출한다면서 주민들을 마구 학살하고 마을 가옥 42호 중에서 38호를 불태우는 만행을 저질렀습니다. 수촌리에서 교회당이 불타고 사람들이 죽거나 체포되었다는 소문을 들은 개신교 선교사들은 상황을 파악하기 위해 수촌리를 찾았는데 이들 중에는 영국계 캐나다 선교사 프랭크 윌리엄 스코필드(Frank William Schofield, 1889년 3월15일~1970년 4월16일,한국명 석호필)도 있었습니다.이런 가운데 4월 5일 발안 장날이 되자 만세시위운동이 다시 일어났는데 이러자 일본 육군은 아리타 도시오(有田俊夫) 육군 헌병중위가 지휘하는 부대를 4월 13일 제암리로 보내 만세시위운동 주모자들을 색출하도록 지시했으며 이 과정에서 아리타 중위는 15세 이상의 남자들을 모두 교회당으로 모이게 했는데 "만세시위 진압 과정에서 너무 심한 매질을 한 걸 사과하러 왔다."는 명분을 내세웠지만 이것은 새빨간 거짓말이었습니다.이미 아리타는 사사키 등을 통하여 제암리 개신교인들의 명단을 확보한 상황이었고, 아리타가 교회당을 나서는 것을 신호로 일본군은 교회당에 사격을 시작하는 동시에 짚더미와 석유를 끼얹고 불을 질렀습니다. 불을 지른 과정에서 민가 28채가 소실되었는데 바람이 거세 교회당 아래의 민가로 불이 번졌고 교회당 위쪽으로는 일본군들이 불을 질렀습니다. 일본군이 교회당 안에 있던 사람들을 못 나오게 하려고 문에 못질을 했다는 주장도 있지만 공식적인 기록에 따르면 문을 잠근 것으로만 되어 있습니다. 탈출하다가 사망한 사람들은 벽을 부수고 탈출했다고 합니다. 한 여인이 아기를 창밖으로 내보내며 살려달라고 하자 칼로 찔러 죽였다고도 알려져 있지만 실제로 제암리 학살 사건에 대한 공식 기록에 의하면 교회당 안에 모인 사람들은 15세 이상의 남자들 22명이었다고 합니다.교회 안에 들어갈 때 키를 재서 총의 길이보다 키가 큰 사람들만 들어가게 했다고 합니다.그렇게 19명이 교회당 안에서 사망했으며 3명이 교회당에서 탈출하던 중 2명은 사망하고, 1명은 산으로 피신하여 겨우 목숨을 건졌다고 합니다. 가족을 찾아 교회로 달려오는 부인 2명이 죽기도 했습니다.다음날 일부 군인들은 고주리로 가서 화성지역의 천도교 지도자였던 김홍렬의 일가족 6명도 살해했는데 불 탄 집에 들어갔을 땐 "...이게 니 뼉다구인지 내 뼉다구인지도 모르겄고..."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말 그대로 참혹 그 자체였다고 합니다.양일간 제암리 교회에서 23명, 고주리에서 6명이 학살당하고 맙니다.

■제암리 학살사건_파장

묻힐 뻔한 이 사건은 수촌리에서 벌어진 학살 사건을 파악하기 위해 수촌리로 가던 스코필드가 "제암리에서도 학살 사건이 벌어졌다"는 소식을 듣고 제암리로 달려가 상황을 파악하여 세상에 알려지게 되었습니다. 스코필드는 유골을 수습하는 한편 제암리 학살의 증거들을 사진으로 찍고 꺼지지 않는 불꽃(Unquenchable Fire)이라는 보고서를 저술해 전 세계에 제암리에서 일어난 학살 사건을 폭로했습니다.제암리 학살 사건이 알려져 국제적 여론이 악화되자 일본은 제암리 학살을 지휘한 아리타 중위에게 30일의 중근신 처분만 내리고 사태를 덮으려 했습니다. 그러나 제암리 학살 사건이 전 세계적으로 알려져 일본에 대한 세계의 여론은 안 좋은 방향으로 흘러가게 되자 일본은 "아리타 중위가 미숙하고 주민들이 저항하여 우발적으로 사건이 발생했다"고 주장했으며, 후일 김완섭은 "당시 조선 땅에 일본군이 없었는데 어떤 일본군이 학살을 하나?"라는 주장을 해 논란이 되기도 합니다.그러나 당시 조선 주둔 일본 육군이 조선군이라는 이름으로 주둔하고 있었던 것은 분명한 사실이고 이 중 헌병 병력 일부는 일반 치안 임무를 하고 있었던 것도 사실이며 김완섭은 "이들은 치안 업무에 종사했으니 군인이 아니라 경찰"이라고 우겼지만 이들은 경찰 업무뿐만 아니라 헌병 업무까지 하고 있었던 것도 분명하며, 엄연히 이들의 법적 신분은 군인이었습니다. 더욱이 당시 조선 주둔군 사령관인 우쓰노미야 다로 장군의 일기가 발견되면서 일본이 제암리에서 벌어진 학살 사건을 조직적으로 은폐하려 한 사실이 드러났습니다.그리고 관여한 군인들은 30일간 근신처분을 받았고 나중에 군법회의의 결과 살인,방화에 대해 무죄 처분을 받기도 합니다.

■제암리 학살사건_해방 이후 범죄에 공소시효는 필요없다!

해방이 되기 전까지 제암리 사건은 언급조차 못 되다가 1959년 4월이 되어서야 이승만 전 대통령의 친필로 된 순국 기념탑을 세울 수 있었습니다.일본에서도 이 학살 사건은 거의 잊혀져 있었으나, 1965년에 일본 개신교계 인사들에 의해 이 사건이 재조명되기 시작했는데당시 일본해외선교회 소속으로 한국을 방문한 오야마 레이지(尾山令仁) 목사가 유일한 생존자였던 전동례 할머니에게 사건의 전말을 듣게 되었습니다. 큰 충격을 받은 오야마 목사는 귀국 후에 '제암교회 소타(焼打)사건 속죄 위원회'를 조직하고 일본 개신교인들의 속죄헌금을 모금하여 교회당 재건 및 추모시설 건립을 하고 싶다는 의사를 타진해 왔습니다. 이러한 움직임에 대해 일부 유족들은 '일본인의 돈으로 교회를 지을 생각이 없다'며 완강히 거부하는 등 논란이 계속되었으나 일본 교인들이 간곡히 거듭 속죄를 청해왔고, 예수의 속죄 사역이 기독교 교리의 핵심인 만큼 그 정신에 따라 속죄를 받아들여야 한다는 의견이 점차 높아지면서 제암교회 측도 1968년 2월에 이를 수락하였습니다. 이에 일본에서 모금된 1,000만엔(당시 환율로 한화 약 800만원)을 토대로 사건 발생 50주기인 1969년 4월 15일에 교회와 유족회관의 기공식을 가졌으며, 1970년 9월 22일에 사죄의 교회당을 완공하여 봉헌식을 거행하였습니다. 이 교회는 하늘에서 보면 3자로 보이고, 높이 12m의 종탑이 1자로 서 있어 3.1 정신을 상징하도록 설계되었는데 적어도 일본 계신교에서는 반성과 사죄를 위한 나름의 노력을 기울여 온 셈입니다.

1969년 촬영된 제암교회 모습 (1938년 재건) ,우측사진-제암리 3.1운동 순국 기념탑 모습
1973년에 촬영된 제암교회 ,우측 사진 1980년에 촬영된 뒷편 모습

하지만 이에 대해 여전히 불만을 가지고 있던 유족들도 있었고, 1990년대 중반 중앙청(舊 조선 총독부 청사)을 철거하는 등 일제잔재 청산 및 복원 움직임이 활발해지면서 제암교회도 재복원 사업이 시작되었는데 이에 따라 1997년에 문화재관리국 주도로 제암교회 복원 및 새로운 3.1운동 순국유적기념관 건축 사업이 추진되었는데이 과정에서 일본 계개신교계의 '사죄의 교회당'은 헐리게 되었으며 1만7천여㎡의 제암리 성역단지 내에 1,300여㎡ 규모의 새로운 순국기념관, 23인 순교묘지, 상징조형물 등이 조성되어 2001년 3월 1일에 완공되었습니다.이 사건을 폭로한 스코필드 교수는 후에도 한국인을 돕다가 조선총독부에 의해 강제 출국당했지만 1968년 건국공로훈장을 수여받았고 외국인으로써는 최초로 국립현충부에 안장되었습니다.현재도 명맥을 이어오고 있는 제암교회에서는 영상물과 교육자료 등을 통해 제암리 학살사건 당시의 내용을 자세히 알아볼 수 있습니다.그 어떤 범죄 행위에 공소시효라는 것은 이제 없어져애 하며 범죄를 저지르면 죽을 때까지 처벌이 뒤따라야 한다는 것을 범죄자들에게 알아야 하기 때문입니다.

EBS 다큐 제암리 100년의 기억
MBN  시사기획 맥 중에서
반응형
그리드형
LIST
사업자 정보 표시
옥탑방 바카시온 | 최창열 | 22309 | 사업자 등록번호 : 708-28-01499 | TEL : 070-4517-4074 | Mail : sysy2202@naver.com | 통신판매신고번호 : 2022-인천중구-0183호 | 사이버몰의 이용약관 바로가기

'- ☆ 詩폐라뮤지엄 > - 미스테리 뮤지엄(국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화 베테랑 속 막장 재벌 유아인의 실제모델_여자 연예인 100여명과 향학을 즐긴 타락한 재벌 2세 칠왕자 박동명 사건의 나비효과  (0) 2024.04.29
가족들을 모두 살해 혹은 중상을 입힌 엄인숙 보험살인 사건_사이코패스 검사 40점 만점에 만점을 받은 한국판 벨 거너스  (0) 2024.04.18
일제강점기 영구 미제 사건_1926년 전주 소학생 유괴 살인사건  (0) 2024.04.16
37년이 지나도 풀리지 않는 영구미제 탑모델 윤영실 실종사건_사라진 그녀는 납치된 것일까?청부살해 당한 것일까?  (0) 2024.04.13
대구 덕원중학교 중학생 자살사건_어린 승민이를 죽음으로 몰고간 학교폭력과 작은 악마들  (0) 2024.04.11
영화 화차 실사판 부산 시신 없는 살인사건의 진상_손예연 보험금 살인사건  (0) 2024.04.09
4살난 어린 아들을 두고 의문의 죽음을 맞은 어느 가장의 자살을 가장한 타살_필리핀 마닐라 총기사건 미스테리 신주영 피살사건  (0) 2024.02.07
인천 동인천 인현동 라이브 호프집 화재 참사 사건_56명의 청소년들을 죽음으로 몰고간 어른들의 이기심과 탐욕  (0) 2023.12.25
장기 미제사건 인천 십정동 부부 살해사건_우비만 남겨논 살인범의 정체는 영화 공공의적 모방범일까?  (0) 2023.12.23
칠곡 모텔사장 신부 실종 사건_사라진 어린 아내와 거액의 보험금에 숨겨진 비밀  (1) 2023.12.22

댓글


.myredbtn{ -webkit-text-size-adjust: 100%; word-break: break-word; background-color: #e00d0d; border-radius: 28px; border: none; display: inline-block; cursor: pointer; color: #faf8f8 !important; font-family: Arial; font-size: 20px; font-weight: 550; text-align: center; margin-left: auto; margin-right: auto; white-space: nowrap; padding: 10px 35px; box-shadow: 2px 4px 6px #646363; text-shadow: 0px 1px 0px #bb2154; width: 80%; height: 40px; line-height: 40px; overflow: hidden; transition: background 0.3s, transform 0.3s; text-decoration: none; } .myredbtn:hover{ transform: scale(1.05); background-color: #fc6565; text-decoration: underlin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