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 詩폐라뮤지엄/고구려사략

남당유고 박창화의 고구려사초(高句麗史抄) 고구려사략(高句麗史略) 제11대 동양대제기_돼지난생설화의 주인공이자 공손씨를 멸하고 조조의 위나라에 환도성을 빼앗기는 치욕을 겪다

by 마음heart 2024. 3. 19.
728x90
반응형
728x170
BIG

남당유고 박창화의 고구려사초(高句麗史抄) 고구려사략(高句麗史略) 제11대 동양대제기

돼지난생설화의 주인공이자 공손씨를 멸하고 조조의 위나라에 환도성을 빼앗기는 치욕을 겪다


동양대제의 원래 부르던 이름은 동천대왕이었다.이름은 위궁인데 또는 하위거라고도 한다. 어릴때에는 교체라고도 불렀었다. 어머니는 향부 소후인 주통촌 주인 연옹의 딸이었다. 우후가 성품을 시험하려 아끼던 말의 갈기를 잘랐는데 동양대제는 이를 보고 "말이 갈기가 없어 심히 가련하다"라고 하였다. 모두에게 관해하고 인자했다. 원년은 정미년(AD227)이다. 여름 5월 7일 밤에 산상대제가 죽었다.  2년은 무신년(228)이다. 봄 2월에 임금과 황후와 주통후와 우술비가 졸본으로 가서 동명사당을 찾았다. 3월에 대각궁으로 와서 하례를 받았다.  3년은 을유년이다. 봄 정월에 황태후의 언니 호천궁비가 죽었는데 나이가 70이었다.  4년은 경술년이다. 봄 정월에 중천원에서 친히 군사를 훈련시켰다.  5년은 신해년이다. 봄 정월에 금림 공주가 죽었다. 신대의 딸이고 식부의 모친이었는데 나이가 80이었다.

그림제공 _ 대한민국역사복원협회



◎제11대 동양대제기

帝, 初號<東川大王>, 諱<位宮>, 亦作<夏位居>, 小字曰<郊彘>, <山上大帝>之長子也. 母, <香部>小后, <酒桶村>主<椽翁>之女也. 狀皃雅秀, 愛人下士, 且有勇力, 善騎射好武術, 新練兵士. 有<東明>大志, 喜怒不形. 侍女誤{雨下復}肉羹于御衣, 則但問‘其無傷爾手’而己. <于>后欲試其量, 乘其出外, 剪其愛馬之鬣, 則皈而見之以手撫鬣, 曰;“馬無鬣甚可憐.” 上下莫不稱其寬仁大度然.  好畋獵, 築宮室, 浸女色事. 征伐內外多事, 以是少之.

제는 초호가 동천대왕, 휘는 위궁 또는 하위거, 아명은 교체이며, 산상대제의 맏아들이다. 모친은 향부소후인 주통촌 주 연옹의 딸이었다. 외모와 얼굴이 우아하고 출중했으며, 백성과 하급 관리를 아꼈다. 또한, 용력도 있고 기사{騎射}에 뛰어났으며, 무술을 좋아하여 병사들도 새로이 조련하였고, 동명의 큰 뜻도 있었으며, 즐겁거나 노여워도 표시내지 아니 하였다. 시녀가 잘 못하여 고깃국을 어의에 엎질렀을 때에는 다만 ‘네 손을 다치지 않았느냐.’를 물을 뿐이었다. 우후가, 그 도량을 가늠해보려고, 제가 밖으로 나간 틈에, 애마의 갈기를 잘라버렸었던 즉, 돌아와서 그 모습을 보더니 손으로 말의 목덜미를 어루만져주면서 “말이 갈기가 없으니 심히 가련하구나.”라고 하였었다. 아랫사람이나 윗사람이나 제의 인자함과 관대함의 크기를 칭송하지 않을 수 없었다. 몰이사냥을 즐겼고, 궁실을 지어 여색에도 빠졌었다. 국내외 정벌도 많이 하였었는데, 이러하더니만 뜸하여졌었다.

◎ 元年丁未, 夏五月七日夜, <山上大帝>, 以癰潰之證, 崩于<金川宮>. <于>皇后, 急召太子, 行祥于殯, 召太輔<穆登>・左輔<于目>・右輔<尙齊>・國相<高優婁>・中畏大夫<明臨息夫>, 入內殿, 行太子卽位禮, 宝令十九. 羽林・百僚擧燎山呼, 東将明矣.  夏六月, 以<明臨息夫>女<鳣>氏為皇后, 號<皇林宮>. <于>后為<金川>太后. <香部>小后為<酒桶>[太]后, 賜姓<椽>氏.  秋七月, 葬大行[于]<山上陵>, 立廟于<艮嶺>.  <于目>太[輔], <尙齊>左輔, <息夫>右輔兼攝政大王, <高優婁>國相.  九月, 前太輔<靑山公><穆登>薨, 年七十五. <度婁>孫也.
<新羅>, <奈解[三二]>, 二月, 巡其西南郡邑, 考績. 三月, 還. 以海飡<康善>為伊飡. 作詩<惱(思內樂)>.
<百濟>, <仇首(一四)>, 三月雹. 四月大旱. <仇首>親禱<東明>廟乃雨.
群臣請復役<大角宮>, 許之. 先是, <山上>, 為<鳣>后, 採斑玉作此宮, 因不豫而停之. 至是, 復營. 上, 與皇后, 親督之. 飾以宝玉香木, 圍以花, 鳥走泳, 極其奢侈.

○ 원년{단기2560년/AD227}정미, 하5월 7일 밤,

산상대제가 종창으로 몸이 문드러져 금천궁에서 죽으니, 우황후가 급히 태자를 불러 빈소에서 상제{喪祭/服祭}를 올리고, 태보 목등・좌보 우목・우보 상제・국상 고우루・중외대부 명림식부를 불러서 내전으로 들어가 태자 즉위예식을 치렀다. 보령 열아홉이었다. 우림의 백료들이 섶을 불 놓아 하늘에 제사를 올리며 만세를 부르니, 동쪽 하늘이 밝아왔다.  하6월, 명림식부의 딸 전씨를 황후로 올려 황림궁이라 하였고, 우후를 금천태후로 하였다. 향부소후는 주통[태]후로 하고 연{椽}씨라는 성{姓}을 내렸다.  추7월, 대행을 산상릉에 장사하고 간령에 사당을 세웠다.  우목을 태보로, 상제를 좌보로, 식부를 우보 겸 섭정대왕으로, 고우루를 국상으로 삼았다.  9월, 이전의 태보 청산공 목등이 나이 75세에 죽었다. 도루의 손자이었다.신라(내해[32년])는 2월에 그 나라 서남부의 군과 읍을 순시하여 실 삼는 것을 살피고, 3월에 돌아갔다. 해찬 강선을 이찬으로 올렸다. 뇌(사내락)라는 시를 남겼다.백제(구수14년)에서는 3월엔 우박이 내리고, 4월엔 큰 가뭄이 들자, 구수가 손수 동명묘에 빌었더니 비가 내렸다.군신들이 대각궁{大角宮; 在 西 都?, 在北都?}짓는 일을 계속하자고 청하기에, 허락하였다. 애초에 산상이 전후를 위하여 무늬 옥을 캐어 이 궁궐을 짓다가, 환후를 얻어 위독하여져, 중지하였었다. 이제 와서 계속하는 것이었다. 상이 황후와 함께 친히 독려하였다. 보옥과 향내 나는 나무로 치장하고 꽃으로 에워쌌고, 새들이 달리고 헤엄쳤으니, 그 사치함이 극에 달하였다.

◎ 二年戊申, 春二月, 上[與]皇后・<酒桶>后・<于術>妃(皇后母)如<卒本>, 謁<東明>庙告卽位. 三月, 還御<大角宮>, 受百官朝賀, 大赦天下.  三月, 以<金川>后為皇太后・摂政王, 以<息夫>為國公. <于術>為國太妃, 加其奴婢庄園.  秋八月, 雷雨. 上, 如<酒桶宮>, 洗皇子<奢勾>. 十七朔而生故奢, 月如<勾>而生故曰<勾>. 上, 極愛之, 珍宝多與之.
<遼東>, <公孫恭>為其兄子<淵>所擒. <淵>, 自稱太守, 而代領其衆.

○ 2년{단기2561년/AD228}무신, 봄 2월,

상・황후・주통후・우술비(황후모)가 졸본으로 가서 동명사당을 찾아 즉위하였음을 고하였다. 3월에 대각궁으로 환어하여, 조당에서 백관의 하례를 받았다. 온 나라에 대사령을 내렸다.3월, 금천후를 황태후・섭정왕으로 삼고, 식부를 국공으로 하였다. 우술은 국태비로 삼고 노비와 장원을 늘려주었다.  추8월에 뇌우가 있었다. 상이 주통궁으로 가서 황자 사구를 물로 씻어주었다. 17삭{17달}만에 낳았기에 사{넘쳤다}라 하고, 그날 달의 모양이 갈고리를 닮아서 구라 이름 하였다. 상은 사구를 지극히 아꼈으며, 많은 진보를 사구에게 주었다.요동의 공손공은 그 형의 아들 공손연에 의해 갇혔다.공손연은 태수를 자칭하고, 대신하여 그 무리를 다스렸다.

◎ 三年乙酉, 春正月, 皇太后姊<虎川宮>妃薨, 年七十. <虎>, 初為<發岐>妻, 後為<乙巴素>妻. 有脅力能騎射. <發岐>之乱, 大義絶夫以扶杜功, 封妃. 國有大政, 依三輔例收議.  <朱>妃生子<朱元>.
二月, <鱣>皇后生<勝>公主于<大角宮>.  三月, 親練士卒於內城之原. 與皇太后, 謁<山上陵>.  <于目>薨, <尙齊>太輔, <米何>左輔.  
<羅>, <奈觧[三四]>, 四月, 虵鳴南庫三日. 九月, 地震. 十月, 大雪五尺.  <濟>, <仇首(一六)>, 十月, 畋于<寒泉>. 十一月, 大疫. <末曷>入寇<牛谷>界. <仇首>, 率三百精兵赴救過其伏兵, 而敗. <末曷>大掠人物牛羊而去. <仇首>, 以為縱<曷>, 而怨我.  <吳>主<孫權>稱帝遷都<建業>.

○ 3년{단기2562년/AD229}을유, 춘정월,

황태후의 언니 호천궁 비가 나이 70에 죽었다. 호는 처음엔 발기의 처였다가 후에는 을파소의 처가 되었다. 남을 압도하는 힘이 있었고 말 탄 채 활쏘기도 잘하였다. 발기가 난을 일으키자, 큰 뜻으로 지아비와 갈라서서 「부두{사직을 떠받치고 정변을 막는}」의 공을 세웠기에, 비로 봉함을 받았다. 나라에 큰 일이 생기면 삼보들을 시켜서 의견을 견주어 모으게 하였다.  주비가 아들 주원을 낳았다.  2월, 전황후가 대각궁에서 승공주를 낳았다.  3월, 친히 궁성 안의 언덕에서 군사를 조련하였다. 황태후와 함께 산상릉을 참배하였다.  우목이 죽어, 상제를 태보로, 미하를 좌보로 삼았다.신라(내해34년)는 4월에 남쪽 창고에서 뱀이 사흘을 울었고, 9월엔 지진이 있었으며, 10월엔 눈이 많이 내려 다섯 자나 쌓였다.  백제(구수16년)에서는 10월에 한천{寒泉}에서 사냥이 있었고, 11월엔 돌림병이 크게 돌았으며, 말갈이 우곡의 경계에 침입하였다. 구수가 정병 300을 이끌고 구하러 달려갔는데, 복병이 있는 곳을 지나쳤다가 패하였다. 말갈이 사람과 재물 및 소와 양을 대대적으로 노략하여 돌아갔다. 구수는 말갈을 풀어놓아서 생긴 일이라고 우리를 원망하였다.  오의 손권이 칭제하고 건업으로 천도하였다.

◎ 四年庚戌, 春正月, 親習兵馬于<中川之原>. 二月, 改後宮八部為六儀; 香部・藥部曰內儀. 丹部・浴部曰丹儀. 饍部曰廚儀. 茗部・醞部曰茶儀. 道部曰淑儀. 又加珍・玩・宝藏之后, 卽古藏部也, 謂宝儀. 以后母<于術>為內儀小后, 亦曰<香>后.  秋七月, 國相<高優婁>以疾薨. 以「左部」于台<於漱>代之. 乃皇后之兄也. <香>后之子也. 俊厚, 容物有大臣風. 然, 貪財好色, 頗缺人望. 太輔<于目>難之而退. <尙齊>太輔, <息夫>左輔, <湏古>太子右輔, <乙大非>中畏大夫. 時, <于>太后, 與<酒桶>后, 出居<狐川>行宮. <大非>子<素介>為行宮仙人.
<羅>, <奈觧(三五)>, 三月, <奈解>殂. <伐休>孫<助賁>立. 父, <骨正>. 母, <玉帽>, <金仇道>之女也. 其妻<阿爾兮>, <奈觧>女也. <奈觧>, 臨終遺言, 以婿為子. 國人乃立<助賁>. 身長美儀, 采臨事明斷, 咸稱之. 伊飡<連忠>掌軍國事. 七月, 謁始祖庙.

○ 4년{단기2563년/AD230}경술, 춘정월,

중천원에서 친히 병마{=용병과 기사} 훈련을 하였다.  2월, 후궁들과 8부를 6의로 바꿨다; 향부・약부를 내의로, 단부・욕부를 단의로, 선부를 주의로, 명부・온부를 다의로 하였다. 도부는 숙의로 하였다. 또한 옥구슬・노리개・보물을 갈무리하는 후를 두었는데, 곧 옛 장부{藏部}이어서, 보의{宝儀}라 하였다. 후의 모친 우술은 내의소후라 하였고 향후라고도 하였다.  추7월, 국상 고우루가 병으로 죽었다. 좌부 우태 어수가 대신토록 하였는데, 황후{명림전}의 오빠이며, 향후{명림식부의 처였던 우술}의 아들이고, 재주 있고 후덕하였으며, 정사{儒學四物;修身・齊家・治國・平天下}를 봄에 있어서는 대신의 기풍이 있어 보였다. 그러나 재산을 탐하고 색을 밝혀서 꽤나 인망이 없었다. 태보 우목은 어수를 감당하기 어려워하다가 물러났다. 이에, 상제가 태보로, 식부가 좌보로, 회고태자가 우보로, 을대비가 중외대부로 되었다. 이때, 우태후는, 주통후와 함께, 호천의 행궁으로 나가 살게 되었고, 을대비의 아들 소개는 행궁선인이 되었다.신라(내해35년)에서는 3월에 내해가 죽어, 벌휴의 손자인 조분이 섰다. 조분의 부친은 골정이고, 모친은 김구도의 딸인 옥모이다. 조분의 처는 내해의 딸이다. 내해가 죽음에 임박하여 유언으로 사위를 아들로 삼았더니, 나라사람{나라를 다스리는 위치에 있는 사람들}들이 조분을 세웠다. 조분은 키가 크고 외모는 훤칠하였고, 사람을 가려서 정사를 맡김이 명확하고 단호하여, 모두가 칭송하였다. 이찬 연충이 나라의 군국지사를 관장하였다. 7월에는 시조사당을 배알하였다.

◎ 五年辛亥, 春正月, <錦林>公主薨. <新大>之女, <息夫>之母, 年八十. 有賢德, 上下稱之. 葬于<質山>.  夏四月, <鱣>皇后生<鵂>公主.
<羅>, <助賁(二)>, 七月, 以伊飡<于老>為大将軍, 討<甘文>拔之, 以其地為郡.  <濟>, <仇首(一八)>, 四月, 雹如栗, 鳥雀中者死.
<魏>, 以<公孫淵>為<遼東>太守・車騎将軍, 襲我<玄菟城>. 命右衛将軍<朱希>擊破之.

○ 5년{단기2564년/AD231}신해, 춘정월,

금림공주가 죽었다. 신대의 딸이고 식부의 모친이었으며, 나이 80이었다. 현명하고 덕이 있어, 상・하의 사람들이 그녀를 칭송하였다. 질산에 장사했다.하4월, 전황후가 휴공주를 낳았다.신라(조분2년)는 7월에 이찬 우로를 대장군을 삼아 감문을 쳐서 빼앗고, 그 땅을 군으로 만들었다.  백제(구수18년)는 4월에 밤톨만한 우박이 내려 그에 맞은 꼬리 긴 새{鳥}와 참새{雀}가 죽었다.  위는 공손연이 요동태수・거기장군이 되어서 우리의 현도성을 기습하였다. 우위장군 주희에게 명하여 이를 쳐서 깨뜨렸다.

◎ 六年壬子, 春正月, 大閱「五部」衛士于內城之原.  二月, <于>太后薦<蘇太>為內儀, <太>讒<預物>非上子. 上, 乃疎<鱣>皇后, 命出居<淨宮>八十日, 以復后. 后作八十曲而悲之.
三月, <孫權>, 遣<周賀>渡海, 潛通<公孫淵>. <淵>, 以<宿舒>・<孫宗>等入<吳>, 稱献貂皮․達․馬.
太輔<尙齊>, 以女事, 免. <乙大昆>代之.
<羅>, <助賁(三)>, 四月, <倭>猝至圍<金城>. <助賁>, 躬戰破之, 追斬千余級.
十月, 畋于<虎川>, 以慰<酒桶>后.

○ 6년{단기2565년/AD232}임자, 춘정월,

「5부」의 위사들을 내성의 벌판에서 대대적으로 사열하였다.  2월, 우태후가 소태를 천거하여 내의로 삼았더니, 소태가 참소하기를; “예물은 상의 아들이 아니다.”라고 하였다. 이에 상은 전황후와 소원하여지더니만 정궁에 나가 살게 명하였다. 80일이 지나자, 후위를 복원하여 주었다. 후는 80곡을 만들어서 이를 서글퍼하였다.3월, 손권이 주하를 보내 바다를 건너 공손연과 밀통하였다. 공손연은 숙서와 손종을 오에 들여보내서 칭송하며 초피와 새끼 양 및 말을 바쳤다.태보 상제가 딸의 일로 하여 면직되고, 을대곤이 대신하였다.신라(조분3년)에서는 4월에 왜가 갑자기 쳐들어와 금성을 에워쌌다. 조분이 몸소 싸워서 물리치고 추격하여 천여 급의 목을 베었다.10월, 호천에서 사냥하여, 이로써 주통후를 위안하였다.

◎ 七年癸丑, 春三月, <鱣>皇后生<獜>公主于<大角宮>. 上, 命罷皇后宮仙人, 惡后生女. 后為之不食. 時, 人, 為后, 歌生女難.
秋九月, <孫權>, 遣<秦旦>․<黃彊>来朝, 言; "所献金宝珍帶為<淵>所奪, 不勝死罪.”  上, 嘉其遠來賜以酒食, 使皂衣<尙越>等護送其國, 賜<權>貂皮․鶡鷄皮等, 曰;“<淵>之為人反覆, 不可信.” 追後聞之, 則<淵>果殺<權>使<張彌>․<許晏>等, 傳首于<魏>. <魏>, 封<淵>大司馬<楽浪公>, 以力士為使授詔欲擊. <淵>, 知其謀, 盛設兵威, 以帶衛受冊. <魏>以是含之.
<羅>, <助賁(四)>, 四月, 大風飛屋瓦. 五月, <倭>寇東邊. 七月, <于老>, 與<倭>戰于<沙道>, 乘風縱火焚舟. 賊赴水死盡. 是謂<嫂河大戦>.
左輔<米何>薨, <息夫>代之, <穆能>右輔.

○ 7년{단기2566년/AD233}계축, 춘3월,

전황후가 린공주를 대각궁에서 낳았다. 상은 명을 내려 황후궁의 선인을 파면하여 딸 낳은 황후를 박대하였다. 황후는 파직당한 선인을 위해 먹기를 그만두었다. 그 시절, 사람들은 황후를 위해 노래하기를 “딸을 낳아 어려워졌다.”라고 하였다.추9월, 손권이, 진단과 황강을 보내서 입조하여, “바치려 했던 금보진대를 공손연에게 빼앗겼으니, 죽을죄를 면할 길이 없다.”고 하였다. 이에 상은, 멀리에서 왔음을 보아서 흡족해 하며 술과 음식을 내려주었고, 조의 상월 등을 시켜서 오나라로 호송하여 주게 하였으며, 손권에게는 초피와 갈계피 등을 내려주며 “공손연은 사람됨이 뒤집기를 잘 하여 믿을 바 못 된다.”고 일렀다. 추후에 들은 바에 의하면, 공손연은 손권의 사신 장미와 허안 등을 죽여서 그 목을 위로 보냈다. 위는, 공손연을 대사마・낙랑공으로 봉하고, 력사는 사신을 삼아 보내면서 {공손연을} 격살하라고 일렀다. 공손연은 그 음모를 알아차리고 병사를 성대히 늘어세워 위엄을 보이면서 책명 받는 곳을 둘러싸게 하였다. 위는 이렇게 되자 아무런 음모가 없었던 듯이 하였다.신라(조분4년)는 4월에 큰바람으로 집과 기왓장이 날아갔고, 5월에는 왜가 동쪽 변경을 도적질 했고, 7월에는 석우로가 왜와 사도에서 싸웠는데, 바람의 도움으로 {왜적들의} 배를 불사르니, 왜적들은 물에 이르러 모조리 죽었다. 이를 수하대전이라 한다.좌보 미하가 죽어, 식부가 이를 대신하였고, 목능이 우보가 되었다.

◎ 八年甲寅, 春正月, 宴<吳>使于<大角宮>.  謁<酒桶>后于<狐[川]>. 時, 后生女<方乙>.  夏四月, <曹叡>, 遣使来, 献兵書・宝劍・玉床等, 請共滅<公孫淵>而討<吳>.  太輔<乙大昆>薨, 年七十. <大昆>, 以<巴素>之長子, 立朝五十年. 有大臣之風, 不以公混私. 決大事治大獄, 多有力焉. 然, <巴素>沒, 継娶<虎川>生子, 未免「聚鹿之恥」, 可勝歎哉. <尙齊>復相.
秋九月, <于>太后崩, 葬于<山上陵>側, 植松七重以遮其面.
<濟>主<仇首>殂, 在位二十一年, 其子<沙伴>立幼. <肖古>弟<古爾>廢<沙伴>而自立.
冬十月, 上, 迎<酒桶>太后于<虎川>入居, <于>太后崩, 所總執政事. 於是, <椽>氏兄弟, 驟登樞, 以代<于>氏・<朱>氏. 國人歎外戚「<沙麓>之患」, 而莫可奈何. 時, <酒>后, 春秋四十六, 而胖强如少女, 連生私子. 上, 不能禁, 皆封為列王・公主.  <朱>妃生子<朱國>.

○ 8년{단기2567년/AD234}경인, 춘정월,

오의 사신에게 대각궁에서 연회를 베풀었다. 주통후를 호[천]으로 찾아뵈었다. 이때, {주통}후는 딸 방을을 낳았었다.  하4월, 조예{魏 曹操의 손자}가, 사신을 보내서, 병서・보검・옥상 등을 바치며, 함께 공손연을 멸하고 오를 토벌하자고 청하였다.  태보 을대곤이 나이 70에 죽었다. 을대곤은, 을파소의 장자이며, 입조한 지 50년이었는데, 대신의 기풍이 있었고 공과 사를 혼동하지 않았다. 큰 정사를 처결하고 큰 옥사를 다스림에 힘쓴 것이 많았으나, 을파소가 죽자 호천을 이어서 취하여 아들을 낳아서, 「취록지치{사슴에 비유되는 왕비 등을 통음하는 부끄러운 일}」를 면하지 못했으니, 한탄할 일이었다.  상제가 재상의 자리에 복귀하였다.추9월에 우태후가 죽자, 산상릉 곁에 묻어주고 소나무를 일곱 겹으로 심어 그 앞을 가려주었다.백제주 구수가 재위 21년에 죽고, 그의 아들 사반이 어린 나이에 보위에 올랐더니, 초고의 동생 고이가 사반을 폐위하고 자신이 보위에 섰다.동10월, 상이 호천에 있던 주통태후를 궁내로 맞아들여 기거하게 하였더니, 우태후가 죽자, {주통이} 모든 정사를 틀어쥐게 되었고, 이리하여 연씨 형제는 갑자기 대신의 자리에 올라 우씨와 주씨를 대신하게 되었었다. 나라사람{나라를 다스리는 위치에 있는 사람들}들은 외척들의 「사록지환{외척의 발호에 의한 우환}」을 어찌할 수 없음에 한탄하였다. 이때, 주통후는 나이가 46살이었는데도, 태반이 젊은 여자와 같이 튼튼하여, 계속하여 사생아를 낳아댔다. 상은 이를 금하지 못하고 모두를 왕과 공주로 봉하였다.  주비가 아들 주국을 낳았다.

◎ 九年乙卯, 春正月, 詔曰;“孝者, 人之大本也. 朕, 為民父母, 不自垂範, 何以治民, 噫. 我母后, 自誕朕, 躬累遭艱難辛苦, 到此. 思念其情, 可不矜憐. 朕, 以天下養此一人, 俾無遺感. 凡我臣民, 體此大旨. 如有長生不老神仙之藥, 補氣甦元之術, 可延母壽者, 進于太后. 宜加爵賞功.” 命有司選民孝母者三十七人, 賜宴于太后宮.  夏四月, <鱣>皇后生<桷>公主于<[大]角宮>. 上, 怒, 削后邑<龍岩>․<桓那>之地而出居<淨宮>, 以內儀小后<桶>公主為皇后.
<羅>, <助賁(六)>, 正月, 東巡郡國, 撫恤其民.

○ 9년{단기2568년/AD235}을유, 춘정월,

조서를 내려서 이르길; “효는 사람이 갖추어야 큰 근본인데, 짐은 백성들의 부모 된 자인데도 스스로 모범을 보이지 못하였으니, 어찌 백성들을 다스릴 수 있으리오. 개탄할 일이었소. 내 모후께서는, 짐을 낳으신 이래, 몸소 여러 간난신고를 겪으시면서 오늘에 이르셨소. 그 정을 생각하면, 어찌 가련하셨다고 아니 할 수 있겠소. 짐은 세상의 모든 것을 바쳐서라도 이 분을 돌볼 수 있다면, 유감스러움을 남기고 싶지 않소. 나의 모든 신하들과 백성들은 이 큰 뜻을 헤아려주시오. 장생불로하는 신선들의 약이거나, 기운을 보하여 젊음을 되찾아주는 재주이거나, 모친의 생명을 늘여주는 그 무엇을 태후{주통}께 바치는 자에겐, 작위를 더하여 주고 그 공에 상을 내릴 것이오.”라 하였다. 관리에게 명하여 모친에게 효도하는 백성 37인을 가려내어 태후 궁에서 잔치를 벌여 주었다.하4월, 전황후가 대각궁에서 각공주를{또 딸을} 낳았더니, 상이 노하여 후의 위와 식읍으로 주었던 용암과 환나 땅을 삭탈하고 정궁으로 나가 살게 하고는, 내의소후 통공주를 황후로 삼았다.신라(조분6년)는 정월에 동쪽의 군국{郡國; 邑國보다 규모가 크거나 지위가 높은 부락}들을 순시하며 백성들을 위무하고 구휼하였다.

◎ 十年丙辰, 春二月, <孫權>使<胡衛>来謁請和. 辞意甚慢, 禮物且薄. 上, 怒, 謂<胡衛>, 曰;“爾王事<淵>甚厚, 而何事朕甚薄乎.” <衛>曰;“禮数因風波入海, 辞意與<淵>相同.” 上曰;“年前, <旦>・<彊>绐朕. 汝復爾邪.” 命, 下獄治之. 太輔<息夫>與疾入諫, 乃置<玄菟>监之. <衛>, 逃走為<淵>所殺. 其徒<周仙>, 年少能通吾語, 為<朱通>家臣, 太輔<穆臣>亦諫而免.  夏五月, 上, 観稼于西郊, 親採種麥.  <桶>皇后[恃]寵自恣. 上, 復召<鱣>后入宮. <鱣>上書哀乞, 曰;“臣妾, 身多水氣, 恐又生女, 不敢再配聖躬.” 上曰;“朕, 夢見先帝責我曰女勝於子無爭位之危.” 朕, 今覺之. 其[勿]憂而入.”
<索頭>, <涉真>殂, <應鹿>立.
<朱>妃生<洙>公主.  
<羅>, <助賁(七)>, 二月, 取<骨火國>為郡. 以其主<阿音夫>為老客, 賜宅庄安之. 時, 朝廷, 以萬一之備, 割<竹嶺>以南之地, 築城池. 故<助賁>, 知勢, 不得已而停北拒, 而南下者也.  <濟>, <古爾(三)>, 十月, 獵西海大島, 手射鹿四十.

○ 10년{단기2569년/AD236}병진, 춘2월,

손권의 사신 호위가 찾아와 배알하며 화친을 청하였다. 그 언사가 심히 방자하고 예물 또한 야박하였더니, 상이 화가 나서 호위에게 이르길; “너희 왕은 공손연은 끔찍이도 섬기면서, 짐을 섬기는 것은 어찌 이리도 야박한가?”라 하자, 호위는 “예물은 여러 번의 풍파로 인하여 물에 빠뜨렸음이고, 문맥의 뜻은 공손연에게 함과 하나같았습니다.”라고 아뢰었다. 이에 상이 이르길; “지난해에 진단과 황강이 나를 속이더니, 너도 다시 그러는 것이냐?”라 하고는, 옥에 가두어 다스리라 명하였다. 태보 식부가 병든 몸으로 들어와서 간언하였더니, 호위를 현도에 안치하고 지키라 하였다. 호위는 도주하다가 공손연에게 잡혀서 죽었다. 함께 왔던 주선은 나이가 어린데도 우리말에 능통하여 주통이 가신으로 삼았더니, 태보 목신이 역시 간언하기에 풀어주었다.  하5월, 상이 서쪽 교외로 나가서 농사를 살피고, 친히 보리종자도 거두었다. 통황후가 총애를 믿고 스스로 방자하였고, 상은 다시금 전후를 입궁하라고 불렀다. 이에 전후는 글을 올려 애걸하기를 “소첩의 몸은 수기{水氣/陰氣}가 많아서 또 딸을 낳을까 두렵습니다. 감히 성상을 다시 모실 수 없습니다.”라 하자, 상이 이르길; “짐이 꿈에 선제를 뵈었더니, 짐을 책망하며 이르시길 딸이 아들보다 낫다. 제위를 다툴 위험이 없기 때문이다 하시었소. 이제 짐이 그것을 깨달았으니, 걱정하지 말고 들어오시오.”라 하였다.색두의 섭진이 죽어 응록이 섰다.주비가 수공주를 낳았다.신라(조분7년)는 2월에 골화국을 취하여 군으로 만들고, 그곳의 주인이었던 아음부는 노객으로 삼아서 집과 땅을 주어 편안히 살게 하였다. 이때 {고구리}조정은 만일의 대비책을 논의하고 죽령 이남 땅을 빼앗아 성을 쌓고 물구덩이를 만들었다. 그랬더니 조분은 자신의 세력{이 미흡함}을 알고 할 수 없이 북쪽에 항거하기를 그만두었고 남쪽으로 내려가게 되었다.  백제(고이3년)는 10월에 서해{서쪽의 바다, 대야택 같은 호수, 강}의 큰 섬에서 사냥을 하였으며, 손수 사슴 40마리를 쏘았다.

◎ 十一年丁巳, 春三月, <鱣>皇后, 生<獐>公主, 泣而不食, 上亦泣.
<劉昕>・<鮮于嗣>・<吳林>等侵<帶方>・<楽浪>等小國, 與<淵>表裡. <淵>, 自稱<燕>王, 而驕傲. 上, 乃遣使如<魏>, 議討<淵>之計. <魏>, 使<毌丘儉>為<幽州>刺使, 與<鮮卑>・<烏桓>等, 屯<遼隊>徵<淵>. <淵>, 出擊破之. <毌>, 欲再戰, 以大雨十日<遼水>大漲, 故恐有失而引還<右北平>. 我軍, 乘虛, 襲取<玄菟>西地百余里.  太輔<穆臣>薨.  <羅>有蝗災.  七月, 太輔<尙齊>薨,  年七十七. <息夫>代之, <能>左輔.

○ 11년{단기2570년/AD237}정사, 춘3월,

전황후가 장공주를 낳고 눈물 흘리며 먹기를 피하니, 상도 또한 눈물을 흘렸다.류흔}・우사・오림 등이, 대방・낙랑 등의 작은 나라들을 침략하고, 공손연과는 표리와 같이 되었더니, 공손연은 스스로 연왕을 칭하고 교만하며 거드름을 피웠다. 이에 상은 위에 사신을 보내어 공손연을 토벌하는 계획을 상의하였다. 위는 관구검을 유주자사로 삼아서, 선비・오환과 함께, 요대에 진을 치고 공손연을 응징하게 하였더니, 공손연이 {먼저} 나와서 이들을 격파하였다. 관구검은 다시금 싸우고 싶었으나, 큰비가 열흘이나 내려서 요수가 넘실대니, 군사를 잃을까 겁나서 우북평으로 철수하였다. 우리 군대가 이 허를 틈타 현도 서쪽의 땅 백 여리를 취하였다.  태보 목신이 죽었다.  신라에서는 황충의 피해가 컸다.  7월, 태보 상제가 77살에 죽으니, 식부가 이를 대신하고, 목능이 좌보가 되었다.

◎ 十二年戊午, 春正月, 大雪五日. 太輔<息夫>妻<玉陽>公主薨. 後二日, <息夫>亦薨, 年七十. <息夫>, 有渠父之風, 勤儉自守, 戒子女, 能直諫. 常言太后于政, 人以為賢相. 上, 與<鳣>皇后, 臨吊, 葬以大王之禮.  以<穆萇>女<蚕>為內儀小后. <萇>, <能>之子也.
<司馬懿>, 遣使来, 請共滅<淵>賊. 乃命<朱希>, 為注簿大加, 引五千兵出<南蘇>觀望聲援. 八月, 滅<淵>. <懿>背約驕傲. 上, 怒, 絶之.
<濟>, <古爾(五)>, 正月, 設壇祀天地, 用鼓吹. 二月, 畋于<釜山>五旬乃返. 四月, 震王宮門柱, 黃龍自其門飛出.

○ 12년{단기2571년/AD238}무오, 춘정월,

닷새 동안 많은 눈이 내렸다. 태보 식부의 처 옥양공주가 죽었다. 이틀 후에 식부도 나이 70에 죽었다. 식부는 도량이 큰 아비의 기풍이 있었고, 근검하여 자신을 지키고 자녀를 가르쳤으며, 직간을 잘 하였다. 늘 태후에게 정사에 대한 얘기를 나누었더니, 사람들이 현명한 재상이라고 했다. 상은, 전황후를 데리고 친히 임석하여 조문하였으며, 대왕의 예로 장사하였다.  목장의 딸 잠을 내의소후로 삼았다. 목장은 목능의 아들이다.사마의가 사신을 보내 함께 연을 멸하자고 청하였다. 이에 주희에게 명하여 주부대가가 되어서 5천병을 이끌고 남소로 출병하고 관망하여 성원하라 하였다.  8월에 공손연을 멸하였더니, 사마의가 약속을 저버리고 교만 방자하여졌다. 상이 노하여 사마의와 교통을 끊었다.백제(고이5년)는 정월에 제단을 쌓고 천지에 제사하면서 북과 나발을 사용하였으며{천자국의 흉내를 냈으며}, 2월에는 부산{釜山}에서 50일 동안이나 사냥하다가 돌아갔고, 4월에는 왕궁 문기둥에 벼락이 떨어지고 거기에서 황룡이 날라나왔다.

◎ 十三年己未, 春正月, 宴宗室公卿之老母于太后宮. 親率伶人, 奏歌舞滑稽, 以慰太后.  親練軍士于<西川>.
<羅>使至献玉石求<竹嶺>之地, 不許.  <濟>, 自正月不雨, 至五月而雨.  <魏>, <曹叡>死, <司馬懿>執政.

○ 13년{단기2572년/AD239}기미, 춘정월,

태후 궁에서 종실과 공경들의 노모들에게 잔치를 베풀었다. 상은 친히 재인들을 거느리고 악기도 타고 노래하고 춤도 추며 익살도 부려서 태후를 위무하였다.  친히 서천에서 군사를 조련하였다.신라의 사신이 와서 옥돌을 바치며 죽령땅을 얻고자 하였으나, 허락하지 않았다.  백제에서는 정월부터 비가 내리지 않더니만, 5월이 되어서야 비가 내렸다.  위에서는 조예가 죽고, 사마의가 정사를 거머쥐었다.

◎ 十四年庚申, 春正月, 多雪, 猪獐之獲甚多.  行先農祭于內城北郊.  二月, <鳣>皇后生<龜>公主, 上泣. 三月, 太后生<屈>太子. 上喜, 太后笑, 曰;“人言; `陛下喜怒不形.' 近頗異前, 泣女而喜弟. 何也.” 上曰;“<于>太后生時, 未甞弛念, 今頗放心. 是, 臣之短也. 當改之.”
<帶方>人<弓遵>, 自稱<魏>太守, 略邊, 通<羅>・<倭>, 生梗甚多. 命<於灌>, 率<韓>「臣智」等, 擊殺之.  <濟>, <古爾(七)>侵<羅>西邊. 四月, 以<真忠>為左将委其內外兵馬. 七月, 大閱于<石川>, 有雙鴈起於川上, <古爾>射之皆中, 自以為神, 而人以為不吉.
冬十二月, <然弗宮>奉禮<椽葉>生子<若友>. 上, 夢見白龍入<然弗>太子之懷, 心常異之. 至是, 白龍果現于<溫湯>而<若友>生. <葉>, <况>之女. 其母<尊>公主, 上之胞妹也. 時, 年十四. 上, 大喜之, 親幸<溫湯>賜衣, 以駙馬<椽况>為中畏大夫, 以慰太后之心. <况>, 太后之姪, <尙>太后之女. <于>太后時, 全家避于<壅口>. 至是, 始大赫.

○ 14년{단기2573년/AD240}경신, 춘정월,

눈이 많이 내려, 잡힌 돼지와 노루가 엄청 많았다. 내성의 북쪽 교외에서 선농제{매년 농사의 시작에 앞서 지내는 제사}를 지냈다.  2월, 전황후가 귀공주를 낳으니, 상이 눈물을 흘렸다. 3월 태후가 굴태자를 낳았다. 상이 기뻐하자, 태후가 웃으며 말하기를; “사람들이 말하기를; ‘폐하는 기쁘거나 노여워도 표내지 않으신다.’고 하던데, 근래엔 이전과는 상당히 다르십니다. 딸 낳으니 눈물 흘리고, 남동생 낳으니 웃으셨는데, 무슨 까닭이오?”라 하니, 상 왈; “우태후가 살아 있을 땐 생각이 느슨하지 않았으나, 지금은 좀 방심하였습니다. 신의 잘못입니다. 응당 고치겠습니다.”라 하였다.대방사람 궁준이 위의 태수를 자칭하며, 변방을 침략하고, 신라 및 왜와 소통하여, 근심거리가 많아졌다.  어관에게 명을 내려, 한의 「신지」 등을 이끌고 나가서 이를 쳐 죽이게 하였다.백제(고이7년)가 신라의 서쪽 변방을 쳤으며, 4월엔 진충을 좌장으로 삼아 내외 병마의 일을 맡겼다. 7월에는 석천에서 군대를 크게 사열하였는데, 석천의 위쪽에서 기러기 한 쌍이 날아오르니, 고이가 이를 쏘아서 모두를 맞추더니만 자신을 신이라 여겼고, 사람들은 이를 불길하다 여겼다.동12월, 연불궁 봉례 연엽이 아들 약우를 낳았다. 상은 꿈에 백룡이 연불태자의 품으로 들어가는 것을 보고는 늘 이상하게 여겨왔는데, 지금에 이르러 과연 백룡이 온탕에 나타났고, 약우가 태어났다. 연엽은 연황의 딸이며, 모친은 상의 동복 여동생 존공주이었고, 이때 나이는 열 넷이었다. 상이 이를 크게 기뻐하며, 친히 온탕으로 행차하여 옷을 하사하였으며 부마 연황을 중외대부로 삼아주어 태후의 마음을 위로하였다. 연황은 상태후의 딸인 태후{<주통>}의 조카이었다. 우태후{가 힘쓰던} 시절엔 모든 가족이 옹구{壅口}로 피하여 살다가, 이때가 되어서야 비로소 처지가 크게 바뀐 것이었다.

◎ 十五年辛酉, 春正月, 太后不豫, 廢朝錄囚, 親行祈禱, 命祀天壇․地神․名山大川. 三月, 快差, 大宴<椽>氏・<明臨>氏之族.
夏五月, 上, 與太后・皇后・<然弗>太子, 如<卒本>, 謁庙陵告王孫, 觀麥田行鳩祭. 秋八月, 封<葉>氏為<然弗>太子妃, 賜金銀轎・綵段無数. 以<尊>公主為內儀小后, 加其田宅․奴婢.  <朱>妃生<洛>公主

○ 15년{단기2574년/AD241}신유, 춘정월,

태후가 위독하여 조정을 폐하고, 죄수를 다시 살피고, 친히 신명에게 빌고, 천단과 지신 및 명산대천에 제사지내라고 명하였다. 3월에 {태후가} 쾌차하여졌다. 연씨와 명림씨의 족당들에게 큰 잔치를 베풀었다.하5월, 상은 태후・황후・연불태자와 더불어 졸본으로 가서 사당과 무덤을 배알하고 왕손이 생겼음을 고하고는, 보리밭을 둘러보고 {보리종자를 물어다 준} 비둘기에게 제사하였다. 추8월, {연}엽씨를 연불태자비로 봉하고, 금과 은으로 꾸민 바퀴달린 가마와 채단을 셀 수 없을 만큼 하사하였다. 존공주를 내의소후로 높여주고, 전택과 노비를 더하여 주었다.  주비가 락공주를 낳았다.

◎ 十六年壬戌, 春正月, 左輔<穆能>以病免.  夏五月, 上, 親率五道将軍<方丑>・<湏古>・<朱希>・<絃>・<穆萇>等, 引兵十万攻<西安平>拔之. 是為<安平大戦>. 初, <懿>, 拔<遼東>而, 移其主力于此, 欲東. 至是, 其設破壞, 生口・珍寶皆皈于我. 時, 左輔<穆能>, 養[疾]城南, 與大評<得来>, 力疾入諫, 曰;“窮兵則引禍, 不如養力而待時.” 上, 苦其不退, 曰;“國老, 只可養疾撫孫, 可也. 何預征伐如是耶.” 命進肉羹而飮之, <能>不飮, 曰;“小臣, 亦皇家之裔, 安可使陛下陷危而不諫. 如欲出兵, 請殺臣.” 上, 怒謂<蚕>后, 曰;“汝祖苦我.” <蚕>, 恐失寵, 强<能>而出. <能>疾劇而薨. 家人不敢葬.

○ 16년{단기2575년/AD242}임술, 춘정월,

좌보 목능이 병으로 면직되었다.
하5월, 상이 친히 5도의 장군인 방축・회고・주희・현・목장 등을 거느리고 십만 병을 이끌어 서안평을 쳐서 빼앗았다. 이것이 안평대전이다. 애초에 사마의가 요동을 빼앗고 이곳으로 자신의 주력을 옮겨 동쪽을 도모하려 하였었다. 이제 그 설비를 파괴해버렸더니, 백성들과 진보가 모두 우리 것이 되었다. 이때 좌보 목능은, 성의 남쪽에서 병을 요양하고 있다가, 대평 득래와 함께, 병을 무릅쓰고 들어와서, 간언하기를; “병력이 다하면{병력을 다 써버리면} 화를 불러들이게 됩니다. 힘을 키우면서 때를 기다림만 같지 않습니다!”라 하였고, 상은 그가 물러나지 않음에 고심하더니만 “국로께서는 요양이나 하시면서, 손자나 쓰다듬으시지, 어찌 이처럼 정벌에 간예하십니까!”라 말하고, 고깃국을 올리게 하여 마시게 하였었다. 목능은 고깃국은 입에 대지도 않고는 “소신 역시 황가의 후손으로, 어찌 가만히 앉아서 폐하가 위험에 빠지시는데도 간언하지 않을 수 있겠습니까? 출병하실 것 같으면, 청컨대 신을 죽여주시오!”라 하였다. 이에 상은 화가 나서 잠후에게 “당신 할아버지가 나를 괴롭히고 있단 말이요!”라 하였고, 잠후는 총애를 잃을까 두려워 목능을 억지로 나가게 하였다. 이에 목능이 병이 극심하여져 죽었으나, 집안사람들은 감히 장사를 지내지도 못하고 있었다.

◎ 上, 自<安平>皈, 大宴君臣, 曰;“如此快事, 恨不得與<穆>老同.” 上, 與<蚕>后, 親葬<能>以國公․太輔之禮, 曰;“汝祖, 雖不知事, 忠則忠矣.” 時, <蚕>后最有寵生皇子, 故<明臨>氏・<椽>氏等頗有妬色.
<羅>, <助賁(一三)>, 年登, 其<古陀郡>生嘉禾.  <濟>, <古爾(九)>, 二月, 開稻田于南澤. 四月, <古爾>以其叔父<質>為右輔. <質>, 忠敎謀事無失. 七月, <古爾>, 出西門, 觀射.
秋七月, <柵新>長者<烏凌>進麥米八千石. 賜<安平>美女二人, 加爵小皂衣村評者.  <鲜卑>・<紫蒙>・<索頭>等遣使, 献美女․良馬, 稱臣․請婚. 上, 皆撫慰以禮, 乃開報聘之路.

○ 상이 안평에서 돌아와 군신들에게 큰 잔치를 벌여주고 이르기를; “이와 같이 좋은  일에, 목씨 노인께서 자리를 함께 하지 못하는 것이 안타깝소.”라 하였다. 상은 잠후와 함께 친히 목능을 국공 태보의 예를 갖추어 장사하고는, “당신의 할아비는, 비록  섬길 줄은 몰랐어도, 충성은 충성이었소.”라고 하였다. 그리하여 잠후는 총애를 가장 많이 받아 황자를 낳게 되니, 명림씨와 연씨의 얼굴에는 꽤나 질투의 빛이 있게 되었다.신라(조분13년)에서는 곡식이 잘 여물고, 고타군에서는 좋은 벼가 생겼다.  백제(고이9년)에서는 2월에 남쪽의 습지에서 처음으로 벼농사를 시작하였고, 4월에는 고이가 숙부 질을 우보로 삼았는데, 질은 계획을 세워서 잃는 것이 없게 하는 것을 충심으로 가르쳤다. 7월에는 고이가 서문 밖으로 나가 활쏘기를 참관하였다.추7월, 책신의 우두머리 오릉이 맥미 8천석을 가져왔기에, 안평미녀 둘을 하사하고 작은 조의촌의 평자{評者} 작위를 주었다.  선비・자몽・색두 등이, 사신을 보내, 미녀와 좋은 말을 바치며, 칭신하고 청혼하였다. 상이 이들 모두를 예의로써 위무하고 보빙{신하의 나라를 답방하고 사신 등을 불러들이는} 길을 열어주었다.

◎ 十七年癸亥, 春正月, 立<然弗>太子為正胤. 以<葉>氏為正胤妃. <尊>公主為正胤淑儀. <明臨鳣>皇后為天宮大皇后, 還<龍岩>・<柦那>・<狐川>之地為湯沐. 時, <鳣>后生<棟>太子. 故上, 爱后殊甚, 寵復如舊.  以<勝>公主為<奢句>妻.  <桶>公主生<于漱>女<五斗>于< 西川>離宮. 是為<西川帝>爱后<五斗星>后也. 初, <西川><鯉宅>女, 夢[得大黑蠎, 以為不吉, 欲祓于巫. <桶>, 聞之, 以橡米五斗, 買其夢,]得娠, 故曰<五斗>.
<古爾>, 正月, 設壇, 祀天地山川. 上曰;“<古爾>欺人孤兒. 天其歃歟.” <鱣>后曰;“至誠則感天. 何愧於前而棄於後.” 上曰;“善.”
<倭>, 献美女錦緞, 而請假路攻<新羅>, 不許.

○ 17년{단기2576년/AD243}계해, 춘정월,

연불태자를 정윤으로 세웠다. 엽씨를 정윤 비로 하고, 존공주는 정윤 숙의로 하였다. 명림전황후는 천궁대황후로 삼고, 용암・단나・호천의 땅을 돌려주어 탕목으로 삼게 했다. 이때, 전후가 동태자를 낳으니, 상은 후를 유별나게도 지극히 아껴 주었고, 총애가 옛날과 같아졌다.  승공주를 사구의 처로 삼았다.  통공주가 우수의 딸 오두를 서천의 이궁에서 낳았다. 이 오두가 {훗날에} 서천제의 애후인 오두성후가 된다. 애초에 서천리택의 딸이 꿈에 [큰 능구렁이를 붙잡았기에, 불길하다고 여기고는, 무당을 찾아가서 푸닥거리를 하고 싶어 하였다. 통이 이를 듣고 도토리 알갱이 닷 되를 주고 그 꿈을 샀더니,] 태기가 있었다 하여 오두라 하였다.고이가 정월에 제단을 쌓고 천지산천에 제사하였는데, 상이 말하길; “고이는 사람들을 속이고 아이{사반}를 저버렸는데, 하늘이 잘도 받아 마시겠다.”라 하였더니, 전후가 말하길; “정성이 지극하면 하늘도 감동할 것입니다. 어찌 앞서 한 일이 부끄럽다 하여 뒤의 일까지 내버려두겠습니까?”라 하였고, 상은 “그렇겠다.”라 하였다.  왜가, 미녀와 비단을 바치고, 신라를 공격할 길을 허락하여 달라고 청하니, 들어주지 않았다.

◎ 十八年甲子, 春三月, 微行至<酒桶村>, 見採薪女<淵>氏之美, 納于後宮為宝儀奉禮. 群臣諫之, 不聼. 上, 欲知臣民之隱密, 徃徃微行于公卿胥吏之家, 眷其妻女. 又訪民戶, 亦然. 故衆望蔚然.  七月, <毌丘儉>入寇<玄菟>. 上, 将步騎二万, 逆擊于<沸流水>上, 大破之, 斬首三千余級. 是謂<沸水大戦>.
<羅>, <助賁(一五)>, 正月, 以伊飡<于老>為舒弗邯兼知兵馬事, 以我割其<竹岺>以南之地為短. 此, 本<楽浪>․<卒本>之地, 皆是我土也. <羅>․<濟>之浸蝕此壤. 盖因邦家西進, 誠極可憎之事也.

○ 18년{단기2577년/AD244}갑자, 춘3월,

미행하여 주통촌에 이르러서 땔나무를 하는 연씨의 아름다움을 보고는 후궁으로 맞아들여서 보의 봉례로 삼았다. 신하들이 간하였으나, 듣지 않았다. 상은, 신하와 백성들의 은밀한 것들을 알고 싶어, 왕왕 공경이나 서리들의 집을 방문하고, 처와 딸들을 둘러보았다. 백성들의 집 또한 찾아보는 것 역시 그리하였더니, 많은 이들이 자기들도 피어나길 바랐다.  7월에 관구검이 현도에 쳐들어와 노략질 하였다. 상이 보기 2만 병을 이끌고 나아가서 비류수의 위쪽에서 이를 받아쳐서 크게 이기고 3천여 급을 베었다. 이를 비수대전이라 한다.신라(조분15년)에서는 조분이 정월에 이찬 우로를 서불감 겸 지병마사가로 삼더니, 우리가 죽령 이남의 땅을 빼앗은 것을 흉으로 여겼다. 이 땅은 본래 낙랑과 졸본의 땅이었었으니, 모두가 우리의 땅이었다. 그런데도 신라와 백제가 이 땅을 갉아먹어 차지하였었다. 대체로 우리나라{邦家;고구리}가 서진하다가 생긴 일이었으니, 진실로 지극히 가증스러운 일이었다.

◎ 十九年乙丑, 春, 巡<東海>觀魚于<達明淵>, 微行至<九極村>, 納其長者女<麥>氏. 顔色絶美, 容儀端雅窈窕. 上, 大可之, 以為茶儀尙禮, 賜田宅奴婢, 爵其兄弟.  <朱>妃生<朱玉>太子.
冬十月, 命<穆萇>・<朱全>, 伐<羅><長岺>・<蛙峴>, 取之. <于老>敗走<馬頭柵>躬燒柴火慰其傷卒. <朱全>欲追之, <萇>曰;“知止則無殆. 窮狗莫逐.” <于老>之燒卒正欲見窮而欲反, 無墮其計. 可也.

○ 19년{단기2578년/AD245}을축, 봄,

동해를 순시하여 달명연에서 고기 잡는 것을 돌아보다가, 구극촌에 미행하여 촌장의 딸 맥씨를 거두었다. 얼굴이 기막히게 예쁘고, 모습이 단아하고 고요하며 아름다웠다. 상은 그녀를 크게 좋게 여겨 다의상례{상시로 술과 차를 따르는 궁인}로 삼았으며 땅과 집과 노비를 내렸다. 형제들에게도 벼슬을 주었다.  주비가 주옥태자를 낳았다.동10월, 목장과 주전에게 명하여 신라의장령과 와현을 쳐서 빼앗았다. 우로는, 마두책으로 쫓겨 가서, 싸리나무를 불 놓아 부상한 졸병들을 위로하고 있었다. 주전이 이들을 추격하고자 하였더니, 목장이 말하길; “멈출 줄 알면 위태롭지 않게 되며, 궁한 개는 쫓는 게 아니오.”라 하였다. 우로의 불 피우던 병졸의 우두머리가 끝장을 보고 싶어 반격하자고 하였으나, 그 계책을 따르지 않았다. 옳았다고 할 것이다.

◎ [二十]年丙寅, 春正月, 詔曰;“兵者, 國之元氣也. 國家, 有事於南西, 涵養元氣. 凡有勇義之士, 通其一技一藝者, 皆詣注簿試, 才無欠一人.”  二月, <鳣>皇后生<德>公主.  秋八月, 上, 與<酒>后・<葉>妃・<麥>妃等, 閱兵于<西川>, 而畋[于]<杜訥之原>, 忽聞<毌>賊迂回而来. 急<于根>等迎戰, 我寡彼衆且接其銳鋒, 頗有難色. 上, 乃抄鐵騎五千, 衝其陣於<梁口>之西, 大破之, 獲其兵仗馬匹無数. 上, 與<酒>后, 受俘. <毌>之大軍又至, <于根>戰死. <毌>方陣而前勢如破竹, 又聞南路失守且挾后妃, 不得如意. 乃引勁騎千余, 而退于<鴨淥>之原. <朱全>軍亦敗, 死者萬人. 上, 東遷<壅口>. 十月, <毌>入都城, 掠民收宝. 上聞之痛哭, 曰;“恨不聼<穆能>之言.” <麥>妃請奔其鄕, 乃至<竹嶺>, 軍士殆盡.

○ [20]년{단기2579년/AD246}병인, 춘정월,

조서를 내려 알리길; “병사는 국가에서 으뜸가는 기운이오. 나라의 서남쪽에 일이 있어, 으뜸가는 기운을 함양하려 하니, 용감하고 의로운 사나이들 중에서 기{技}와 예{藝}에 하나라도 능통한 이들이라면, 모두들 주부를 뽑는 시험에 응하시오. 재능이 있고 흠결은 없는 한 사람을 찾고 있소.”라 하였다.  2월, 전황후가 덕공주를 낳았다.  추8월에 상이 주후・엽비・맥비 등을 데리고 서천으로 가서 병사를 사열하고, 두눌원에서 사냥을 하다가, 돌연히 관적이 우회하여 쳐들어온다는 소식을 들었다. 우근 등을 채근하여 맞아 싸웠으나, 우리는 수가 적고 저쪽은 수가 많은데다가, 그들의 예봉을 마주하더니, 자못 어려워하였다. 이에 상이 철기 5천을 추려서 그들의 진영을 양구 서쪽에서 들이받아 크게 이겼고, 노획한 병장과 마필은 셀 수 없이 많았다. 상이 <주>후와 함께 포로를 접수하였다. 관구검의 대군이 또다시 밀려오니, 우근이 싸우다 죽었다. 관구검이 방진을 펼쳐 그 전봉의 위세가 파죽인데, 남쪽의 통로도 빼앗겼다는 소식을 듣자, 후비들까지 데리고 있는데다가 상황이 녹녹하지 않아서, 날랜 기병 천여 기와 함께 압록원으로 물러났다. 주전의 군대 역시 패하여, 죽은 이가 만 명이나 되었다. 상은 옹구로 동천하였다. 10월, 관구검이 도성{西 都 !}에 들어가 백성을 약탈하고 보물들을 챙겼고, 이 소식을 듣은 상은 통곡하면서 목능의 말을 듣지 않은 것을 한스러워 하였다. 맥비가 자기의 고향으로 피하기를 청하였다. 죽령에 이르렀더니 군사들 거의 모두를 잃었었다.

◎ <東部>于台<密友>募士力戰. 上, 間行入山谷中, 聚散卒自衛. 百姓, 素慕聖德, 皆願死戰. <王頎>追兵, 與田民山尺, 相持. 敵衆我寡, 且無寸鐵, 勢其危急. 廚使<紐由>, 詐降饋<頎>, 隱刀刺殺之, 斬其幕将数人, 賊大亂. 上, 遂督民․兵, 大破<頎>衆. 時, <毌>賊已退. <穆萇>来迎, 上曰;“朕, 不聼汝父之諫, 而至此.” 追贈<能>太輔・安國公, <得来>大注簿, <萇>中畏大夫. <萇>, 初, 娶<山上>女<玉川>公主. 至是, 又以上女<術>公主妻之, <于術>出也. 追贈<紐由>為<東部>大使者, 使其子<多優>継之. 賜<密友><巨谷>․<靑木谷>. 賜<屋句><鴨淥>・<杜訥河原>.  <朱>妃, 多産謹守, 故進封為皇后.
<濟>, <古爾(一三)>, 夏大旱無麥. <毌>賊之乱, <楽浪><劉茂>․<帶方><王遵>亦自南入助<毌>. <古爾>, 乘其虗, 襲二國多掠邊民.
<羅>, <助賁(一七)>, 十月, 東南有白氣如匹練. 十一月, 地震其都.

○ 「동부」우태인 밀우가 무사들을 모아서 힘써 싸웠고, 상은 산곡으로 숨어들어 흩어진 군졸을 모아 스스로를 지켰더니, 백성들은 평소에 상의 성덕을 흠모하였던지라 모두들 죽기로 싸우길 원하였다. 왕기의 추격군이 들판에서 농사를 짓거나 산속에서 사는 사람들과 서로 대치하고 있었다. 적은 수가 많고 우리 쪽은 수가 적을뿐더러 짧은 쇠토막도 없어서 그 형세가 위태롭기 그지없었다. 창간 관리 뉴유가, 거짓으로 항복하고는 음식으로 왕기를 대접하면서, 숨겼던 칼로 그를 베어 죽이고 여러 막장들의 목을 베었더니, 적들은 어지러워졌다. 이에 상이 백성과 병사를 독려하며 왕기의 군대를 크게 무찔렀다. 이때, 관구검 군대는 이미 물러나 있었고, 목장이 와서 {상을} 맞이하니, 상은 “짐이 자네 부친의 말을 듣지 않아 이렇게 되었다.”하였다. 목능을 태보・안국공으로 추증하였으며, 득래를 대주부로, 목장을 중외대부로 삼았다. 목장은 애초엔 산상의 딸 옥천공주에게 장가를 들었었고, 지금에 와서는 또 우술이 낳은 상의 딸 술공주를 처로 삼게 되었다. 뉴유에게는 동부대사자를 추증하고, 뉴유의 아들 다우가 그 자리를 잇게 하였다. 밀우에게는 거곡과 청목곡의 땅을 하사하고, 옥구에게는 압록과 두눌하원의 땅을 하사하였다.  주비를, 자식을 많이 낳았으며 근신하여 자신을 지키었다 하여, 황후로 봉하였다.백제(고이13년)에서는 여름이 가물어서 보리를 거두지 못하였다. 관구검의 난리 중에 낙랑의 유무와 대방의 왕준이 남쪽으로부터 들어와서 관구검을 돕자, 고이는 그 허를 틈타 이 두 나라를 기습하여 많은 수의 변방 백성을 노략하였다.신라(조분17년)에서는 10월에 동남쪽에 명주를 펼쳐 놓은 것 같은 허연 기운이 있었고, 11월에는 도읍에 지진이 있었다.

◎ 二十一年丁卯, 春二月, 移都<平壤>.  七月, 太子妃<葉>氏生子<逸友>.  宝儀奉禮<淵>氏生<淵>太子.
<羅>, <助賁(一八)>, 五月, 殂. 或乘雙魚而上天. 母弟<沾觧>立. 七月, <沾觧>, 謁其始祖庙, 封父<骨正>為<世神葛文王>.
<濟>, <古爾(一四)>, 正月, 祭天地於南壇. 三月, <真忠>右輔, <直勿>左将․知兵馬事.

○ 21년{단기2580년/AD247}정묘, 춘2월,

평양{朝陽近地?}>으로 도읍을 옮겼다.  7월, 태자비 엽씨가 아들 일우를 낳았다. 보의 봉례인 연씨가 연태자를 낳았다.
신라(조분18년)에서는 조분이 5월에 죽었다. 혹자는 쌍어를 타고 상천하였다고 한다. 그의 어미{옥모}의 남동생 첨해가 섰다. 7월에는 첨해가, 자기 시조의 사당을 배알하고, 자신의 아비 골정을 세신갈문왕으로 봉하였다.백제(고이14년)에서는 정월에 남쪽 제단에서 하늘과 땅에 제사하였고, 3월엔 진충을 우보로 삼고, 직물을 좌장・지병마사로 삼았다.

◎ 二十二年戊辰, 春二月, 與<新羅>, 定界和親.  以<葉>氏為內儀小后, <麥>氏[為丹儀小后, <淵>氏為茶儀小后, <貫那>氏為宝儀小后, <蚕>氏]為<地宮>大皇后. 上, 遭變以来倦於政事, 唯以遊獵浸色為事, 命太子摂行政事. 命<要>公主為太子妃, <酒>后出也, 年才十二.
秋七月, <酒桶>太后以暑痢崩, 春秋六十. 后, <酒桶>村長<椽栢>之女也. 其母<於>氏, 夢見槐王持金尺入懷, 而生后. 豐美有德, <山上>微行通之, 生聖躬, 及為太后, 多乱政事, 淫穢頗失前望. 葬于<酒桶村>, 後合于<東川陵>. 皆其遺志也.  <朱>后生子<朱城>太子.  九月, 上, 畋于<狐川>, 謁<酒桶陵>, 有感而疾作, 不能言而崩. 葬于<東川><烏壤>之岡>. 先是, 上, 與<酒>后, 占此地. 至是, 同壙異室. <淵>后赴燒而殉. <鳣>皇后・<蚕>皇后・<麥>氏・<葉>氏等, 皆欲赴火, 號泣. <擗踊>太子, 與<桶>公主・<要>公主, 扶諸后救之. 然, 朝士・後宮・民女之殉于陵前者不絶, 掩柴相連. 人以為<柴原>. 百姓歌之, 曰;“多情天子化為龍, 陵前掩柴總天花.”

○ 22년{단기2581년/AD248}무진, 춘2월,

신라와 경계를 정하고 화친하였다.  엽씨를 내의소후로 삼고, 맥씨는 [단의소후로, 연씨는 다의소후로, 관나씨는 보의 소후로, 잠씨는] 지궁대황후로 삼았다. 상은 변{관구검의 침입}을 당한 이후로 정사에 권태를 느끼고 오로지 유람하며 사냥하기와 여색에 빠져서 세월을 보내면서, 태자에게 명하여 정사를 맡아보게 하였으며, 요공주에게는 태자비가 되라고 명하였다. 요공주는 주후의 소생이고 나이는 열 두 살이었다.추7월에 주통후가 더위를 먹어 심한 설사병으로, 춘추 67세에 죽었다. 주통후는 주통촌장 연백의 딸이다. 모친 어씨가 꿈속에서 괴왕이 금자를 가지고 품으로 들어오는 것을 보고나서 후를 낳았다. 미색이 넘치고 덕스러워 산상이 미행하여 상통하고 성상을 낳았다. 나중에 태후가 되었는데, 정사를 많이 어지럽혔고, 음란하고 몸을 함부로 놀려서 이전에 받았던 인망을 자못 상실하였다. 주통촌에 장사하였다가, 뒷날 동천릉에 합장하였다. 이는 주통후가 남긴 뜻에 따른 것이었다.  주후가 아들 주성태자를 낳았다.  9월에 상이, 호천에서 사냥하고 주통릉을 찾아보고 는 감응하여 병이 들더니, 말도 못하게 되어서 죽었다. 동천의 오양쪽 산줄기에 장사하였다. 애초에 상이 주후와 함께 이곳을 점지하였었고, 지금 한 구덩이에서 서로 다른 방을 가지게 되었다. 연후가 쫓아와서 몸을 불살라 죽었고, 전황후・잠후・맥씨・엽씨 등도 모두 불 속으로 들어가고 싶어 울부짖었다. 벽용태자가 통공주・요공주와 함께 여러 후들을 붙잡아서 목숨을 건지게 하였다. 이러하였으니, 조정 사람들과 후궁들 그리고 민간의 여자들이 무덤 앞에서 순사하는 것이 끊이지 않았다. 이에 싸리 섶으로 덮은 것이 끝이 없었더니, 사람들은 그곳을 시원이라 불렀고, 백성들은 노래하기를; “다정했던 천자가 용이 되니, 무덤 앞 싸리 섶 모두는 하늘 꽃으로 만발하였다.”라 하였다.

▣동천왕

동천왕은 고구려의 제11대 군주. 휘는 우위거 혹은 위궁이다. '위궁'은 진수의 삼국지를 따른 것인데, 태어나면서부터 눈을 뜨고 사물을 본 것이 증조부인 태조대왕과 닮았기 때문에 그의 휘인 '궁(宮)'에서 따온 이름이라고 했다는데 이 내용은 삼국사기 산상왕 즉위 기록에 똑같이 나와 있어서 삼국사기에서는 산상왕의 이름을 연우 또는 위궁이라고 했습니다. 정작 산상왕의 다른 이름인 이이모란 이름은 고국천왕 즉위년 기록의 주석에 딸려 있습니다 아명은 '교체(郊彘)'. 교제(郊祭, 제사) 쓸 돼지와 관련된 사건으로 태어났다는 뜻으로 달아난 제사에 쓸 돼지를 후녀가 잡아줬고, 이를 들은 산상왕이 후녀와 만나 그녀와의 사이에서 동천왕을 낳았습니다. 그래서 교체는 한자 뜻 그대로 '들돼지'로 해석할 수도 있습니다. 삼국사기에서는 '동양왕'(東襄王)이라는 다른 존호도 전합니다.어머니는 관노부(灌奴部) 주통촌(酒桶村) 출신의 소후인 후녀이며 그녀의 성씨는 전하지 않습니다.때는 203년 3월, 산상왕은 후계자 문제로 골머리를 앓고 있었는데 그에게는 본래 처자식이 있었으나, 형 고발기가 197년 5월 왕위 계승권 문제로 반란을 일으켰을 때 모조리 몰살되어 더 이상 왕위를 이을 자가 없게 된 것이었습니다. 산상왕은 할 수 없이 산천에게 기도를 올리며 왕후 우씨와의 사이에서 아들을 낳을 수 있기를 바랄 뿐이었는데 그러던 3월 15일 밤, 산상왕은 꿈에서 하늘에게 "내가 너의 소후로 하여금 아들을 낳게 할 것이니 걱정 말라"는 계시를 듣게 되었고 당시 산상왕에게는 정실인 왕후 우씨가 있을 뿐 소후는 없었으므로, 잠에서 깨어난 왕은 이를 이상하게 여겨 좌우 신하들에게 어찌해야 하는지 물어보았습니다. 이때 국상 을파소는 "하늘의 뜻은 예측할 수 없으니 왕께서는 기다리십시오."라며 적절하게 대답하였고 동년 8월 을파소가 사망하였고, 그렇게 장장 5년의 세월이 흐르는 동안 산상왕은 여전히 아들을 가지지 못했습니다.208년 11월, 제사를 위해 잡아두었던 돼지가 우리 밖으로 달아나는 사태가 벌어졌고 담당자는 돼지를 쫓아 주통촌(酒桶村)까지 이르렀음에도 잡을 수 없었는데, 이때 얼굴이 아름답고 요염한 20대 여인 후녀가 나타나 앞장서 돼지를 포획하였습니다. 이 기묘한 소식이 산상왕에게 전해지자, 그는 이를 아들을 얻을 수 있는 기회라 여겨 후녀와 만나고자 했습니다.결국 왕은 한밤중에 신분을 감춘 채 후녀의 집 앞에 도착한 뒤 시종을 보내 알리게 했는데, 그 집에서는 왕이 온 것을 직감하여 감히 거절하지 못하였으며 산상왕이 방에 들어가 후녀를 불러서 교제하려고 하자, 후녀는 "대왕의 명을 감히 피할 수 없으나, 만약 다행히 자식이 생기면 저를 버리지 마십시오."라고 대답하였습니다. 산상왕은 이를 허락하였고, 그렇게 둘만의 시간을 보내다가 자정 무렵이 되어 자리에서 일어나 국내성에 있는 왕궁으로 돌아갔습니다.정실 왕비인 왕후 우씨는 이듬해인 209년 3월이 되어서야 남편이 주통촌 여인과 만났다는 사실을 깨달았고, 이를 질투하여 몰래 자객을 보내 후녀를 암살하고자 하였고 우씨의 군대가 추격해오고 있음을 알게 된 후녀는 남자의 옷으로 변장하고 도망쳤는데, 결국 군대와 맞닥뜨리게 되자 다음과 같이 일갈하였습니다.

爾等今來殺我, 王命乎, 王后命乎. 今妾腹有子, 實王之遺體也. 殺妾身可也, 亦殺王子乎.

너희들이 지금 와서 나를 죽이려고 하는 것은 왕의 명령이냐, 왕후의 명령이냐?
지금 내 뱃속에 아이가 있는데 실로 왕이 남겨준 몸이다. 내 몸은 죽일 수 있으나 왕의 아이까지 죽일 수 있겠느냐?

병사들은 후녀가 왕의 아들을 임신하고 있음을 깨닫고, 감히 그녀를 해치지 못하여 왕후에게 돌아와 보고했습니다. 한편 산상왕은 이참에 후녀를 다시 만나 누구의 아이를 배었냐고 물었는데, 후녀는 "평생 형제와도 자리를 같이하지 않았는데, 하물며 감히 다른 성씨의 남자를 가까이 했겠습니까"라며 임신한 아이가 산상왕의 친자임을 다시 한 번 강조했고이를 기특히 여긴 산상왕은 위로와 증여를 한 뒤 돌아가 왕후에게 소식을 전했습니다. 암살에 실패한 왕후 우씨는 성질이 뻗쳐서 후녀를 반드시 죽이려고 했으나 결국 이루지 못하였다고 합니다.후녀는 6개월이 지난 209년 8월에 마침내 아들을 낳았는데, 산상왕은 "하늘이 나에게 대를 이을 아들을 준 것"이라며 기뻐하였고 제사에 쓸 돼지가 달아난 일로 말미암아 후녀를 만나게 되었다는 점에서 착안하여 아이의 이름을 교체(郊彘)라 하였고, 후녀를 소후로 삼았습니다. 뒤늦게 밝혀진 사실로, 후녀의 어머니가 후녀를 임신하고 있을 적에 무당이 점을 쳐서 반드시 왕후를 낳을 것이라고 하였기 때문에 후녀(后女)라는 이름이 붙여진 것이라고 합니다. 한마디로 산상왕과 후녀의 만남은 이미 하늘에 의해 예견되어 있었다는 논조의 기록으로 교체는 5세가 되던 213년 1월에 태자로 책봉되었고, 16세 전후의 나이였던 224년에는 왕손 연불을 낳았습니다.  삼국지 동이전에서도 "이이모(伊夷模)가 아들이 없어 관노부(灌奴部)의 여자와 사통하여 아들 위궁(位宮)을 낳았다"고 하여 간략하지만 비슷한 출생 배경을 전하고 있으며 또한 삼국지에 따르면 어릴 적 동천왕은 용감하고 힘이 세었으며, 말을 잘 타고 사냥에서 활을 잘 쏘았다고 합니다.동천왕은 227년 5월, 19세의 나이로 왕위에 올라 21년간 재위하였으며 적어도 이때부터는 아명 교체(郊彘) 대신 우위거(憂位居) 또는 위궁(位宮)이라는 이름을 쓰기 시작했던 것으로 보이며 동천왕 시기부터 부자 세습이 확립되기 시작하는데 중천왕(동천왕의 장남) 서천왕(중천왕의 차남) → 봉상왕(서천왕의 장남) 순으로 부자 간의 세습이 이어졌습니다. 그 후 봉상왕 → 미천왕은 질백 간의 세습이지만 미천왕 이후 아들 고국원왕부터는 모두 직계로 세습되어 쭉 그의 후손들입니다.아무래도 정실 왕후가 아닌 소후의 소생이다 보니, 228년 3월 왕태후(王太后)로 봉해진 왕후 우씨가 234년 9월 사망하기 전까지는 눈칫밥을 먹으며 살아야 했는데 삼국사기의 기록에 따르면 어느 날 왕후가 동천왕의 심성을 시험해보고자 왕이 외출했을 때 사람을 시켜 왕이 타는 말의 갈기를 자르게 했는데, 동천왕은 돌아와 "말이 갈기가 없으니 가련하구나."라고 말하며 대충 넘겼다고 합니다. 우씨가 시종을 시켜 식사를 올릴 때 일부러 동천왕의 옷에 국을 엎지르게 했을 때도 역시 화를 내지 않을 만큼 성품이 관대하고 인자했다고 전합니다.

동천왕 치세 초기에는 조위와 우호 관계를 유지했는데 이때 동오의 손권이 동연의 수장 공손연에게 사신을 보내 동맹을 맺으려고 했는데, 오히려 공손연은 손권을 배신하고 사신들의 목을 베어 위나라에 보냈습니다. 이 사신들 중 일부가 탈출하여 고구려까지 넘어왔는데, 동천왕은 그들을 잘 대접하고 보물과 호위 무사를 딸려서 오나라로 도로 보내주었습니다. 죽은 줄 알았던 사신들이 돌아오자 손권은 기뻐하며 공손연 대신에 고구려와 동맹을 맺기로 하고 다시 고구려에 사신을 보냈고, 이때 손권이 동천왕을 '흉노 선우'로 책봉했습니다.하지만 고구려는 234년에 위(魏)나라와 화친하고, 236년에는 손권의 사신 호위(胡衛) 등을 참수한 뒤 그들의 머리를 유주로 보냈는데 이는 위나라와의 우호 관계를 확실히 하겠다는 의사표시로 해석되기도 합니다. 238년 위나라가 공손연(公孫淵)을 포함한 요동의 동연을 토벌하자 군사 1,000여 명을 보내 위나라를 지원하기도 했습니다.허나 이것은 위나라를 정탐하려는 다른 꿍꿍이로 벌어진 것이었는데 실제 공손연의 세력이 멸망하고 위나라와 직접 국경을 맞대게 되면서 고구려와 위나라의 관계는 악화 일변도를 걷게 됩니다.238년의 중국은 삼국지연의로 유명한 삼국시대로 촉한의 제갈량이 234년 사망한 직후였습니다. 다시 말하면 조위의 기세가 점점 상승하던 시기였는데 명제 조예는 239년에 죽었고 조위가 촉한에게 완패하는 흥세 전투는 244년이었기 때문에, 그야말로 동천왕과 관구검이 충돌하던 시점은 조위의 최고 전성기였던 것입니다. 특히 고구려는 공손연 토벌을 지원하고도 위나라한테 받은 보상이 하나도 없다보니 불만을 품기 시작했는데 그래서 동천왕은 242년에 위나라 요동의 험요지인 서안평을 선제 공격하여 점령하였는데 이때 신하였던 득래가 고구려가 쑥대밭이 될 것이니 단식을 하면서까지 위나라와의 전쟁을 반대했지만 동천왕은 무시하고 위나라 공격을 강행했으며 끝까지 단식했던 득래는 결국 굶어 죽었다습니다.고구려의 서안평 공격에 분노한 위나라가 244년 8월 유주 자사 관구검을 보내 고구려를 전격 침공했는데 사실 이 시기는 244년 4월 흥세 전투에서 위나라가 촉한한테 개털린 직후였는데, 당시 위나라 최대의 척신인 조상이 대대적으로 촉한을 침공했음에도 실패한 상황을 반전시키기 위해 위나라가 동북의 고구려를 침공했던 것입니다. 처음에는 고구려가 관구검을 격파하는데 성공했지만 이에 들뜬 나머지 관구검을 추격하다가 비류수 전투에서 처참하게 당했는데 당시 전투를 다루고 있는 많은 책들에서는 동천왕이 "기병이 보병보다 낫다"는 생각에 빠져 위나라 보병들의 기병에 대한 전법을 몰랐다고 지적하기도 합니다.그 결과 당시 고구려의 도읍이었던 환도성까지 내주고 말았습니다. 고구려는 평화 시기에는 평지성인 국내성,전시에는 산성인 환도성을 도읍으로 했는데 이 둘이 가까이 붙어 있었기 때문에 환도성을 내줬다는 건 사실상 국내성도 내줬다는 이야기가 된다는 것입니다.245년 재차 관구검이 밀고 내려오자 동천왕은 남옥저로 도망쳐야 했고 관구검은 현도 태수 왕기(王頎)를 보내 동천왕을 추격했는데 246년에 이르러 동천왕은 밀우와 유유의 계책으로 위나라의 장수(왕기는 고구려 침공 이후로도 활동했기에 이때 죽은 위나라 장수는 왕기의 부하로 추측된다)를 죽이고 역습을 가해 왕기의 위군을 패퇴시키는데 성공했습니다. 밀우는 결사대를 조직하여 위군의 추격을 늦췄고, 유유는 

"형세가 매우 위태롭고 급박하나 헛되이 죽을 수는 없습니다. 신에게 어리석은 계략이 있습니다.
청컨대 음식을 가지고 가서 위군에 제공하고 틈을 엿보아 저들의 장수를 찔러 죽이겠습니다."

라고 제안하여 적진으로 들어가 적장과 함께 동귀어진했고 동천왕은 이 틈을 타 수습한 병력으로 위군을 공격하여 무찌르는 데 성공하지만 환도성으로 돌아오자 성은 이미 폐허로 변해있어서 도읍을 임시로 평양성으로 옮겨야 했으며 태자인 중천왕이 왕위에 오르고서야 다시 국내성으로 환도할 수 있었습니다. 이 평양성이 평양에 있는 대성산성이라는 주장 등이 있으나 확실하지는 않지만 일단 우리가 아는 평양은 아닐 가능성이 높은데 그 당시 이 지역은 낙랑군의 영역이었던 데다가 이름도 평양이 아니라 조선현(朝鮮縣)이었습니다.동천왕 때 큰 피해를 입은 고구려는 70여 년 후 위나라의 뒤를 이은 사마씨의 서진이 팔왕의 난과 영가의 난로 혼란에 빠진 미천왕 시기인 313년에 비로소 서쪽의 서안평, 남쪽의 낙랑군과 대방군 등을 공격해 싸그리 집어삼키면서 확실히 앙갚음하게 됩니다.248년 신라와 화친했고(245년 10월 신라 북쪽을 침공한 적이 있었다. 동천왕대 신라 관련 기록은 신라본기 쪽 기록을 고구려본기에 내용만 조금 수정해서 옮겨적은 기록이며, 실제로는 동천왕대 기록이 아닌 4세기 초중반대 기록으로 추정된다)그 해에 동천왕이 승하하자 신하나 백성들이 크게 슬퍼한 나머지 동천왕을 따라 죽으려고 했다고 합니다. 후임인 중천왕은 이것은 예가 아니라고 금지했지만 결국 장례일에 장지에서 왕을 따라 죽는 백성들이 매우 많았는데 이때 백성의 시신들을 죄다 땔나무로 덮어버려서 동천왕릉이 있는 곳을 땔나무 '시'(柴)를 써서 '시원'(柴原)이라고 부르게 되었다고 합니다.동천왕릉은 임강총으로 추정되는데, 임강총은 국내성 일대 무덤 중 가장 크며 실제로 가서 보면 무덤 규모가 장군총을 따위로 만들어버릴 정도로 어마어마하며 임강총 무덤이 이렇게 늘어난 이유는 동천왕 개인뿐만 아니라 왕을 따라 순사한 백성이나 신하들을 한꺼번에 묻어서 왕릉이 이렇게 커졌다는 해석도 있습니다.

중국 지린성  지안시 태왕진에서 압록강  쪽의 절벽 위에 위치하고 있는 고구려 의  왕릉급 돌무지무덤(적석총, 積石塚) . 압록강의 북변에 위치하고 있어 임강총이라고 불리고 있다.  통구 고분군  우산하 묘구 43호(JYM 0043)으로 편호되어 있다.
 
 
반응형
그리드형
LIST
사업자 정보 표시
옥탑방 바카시온 | 최창열 | 22309 | 사업자 등록번호 : 708-28-01499 | TEL : 070-4517-4074 | Mail : sysy2202@naver.com | 통신판매신고번호 : 2022-인천중구-0183호 | 사이버몰의 이용약관 바로가기

'- ☆ 詩폐라뮤지엄 > 고구려사략'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남당유고 박창화의 고구려사초(高句麗史抄) 고구려사략(高句麗史略) 제12대 중천대제기_애첩 관나부인을 바다에 수장시키고 위나라 군대를 물리쳐 아버지 동천왕의 복수를 하다  (0) 2024.03.20
남당유고 박창화의 고구려사초(高句麗史抄) 고구려사략(高句麗史略)제10대 산상대제기_두번이나 왕후가 된 우씨 왕후와 발기의 반란  (0) 2024.01.26
남당유고 박창화의 고구려사초(高句麗史抄) 고구려사략(高句麗史略)제9대 고국천제기_고구려 최초의 국상 을파소의 중용과 진대법 실시  (0) 2024.01.25
남당유고 박창화의 고구려사초(高句麗史抄) 고구려사략(高句麗史略)제8대 신대제기_국상 명림답부와 후한과의 전쟁에서 대승을 거둔 좌원 전투  (0) 2024.01.24
남당유고 박창화의 고구려사초(高句麗史抄) 고구려사략(高句麗史略)폐주 차대제기_한국사 최초의 폭군,명림답부에 의해 실각하다  (0) 2024.01.23
남당유고 박창화의 고구려사초(高句麗史抄) 고구려사략(高句麗史略)제7대 태조황제기_고구려의 새 역사를 열다  (0) 2023.11.09
남당유고 박창화의 고구려사초(高句麗史抄) 고구려사략(高句麗史略)제6대 신명선제_나라의 안정과 평안을 가져오다  (0) 2023.11.08
남당유고 박창화의 고구려사초(高句麗史抄) 고구려사략(高句麗史略)제5대 모본제기_고구려 최초의 폭군,신하에게 시해되다!  (0) 2023.11.07
남당유고 박창화의 고구려사초(高句麗史抄) 고구려사략(高句麗史略)제4대 민중제기_짧은 재위기간으로 명을 다하다  (0) 2023.11.06
남당유고 박창화의 고구려사초(高句麗史抄) 고구려사략(高句麗史略)제3대 대무신제기_부여를 복속하고 정복국가 고구려로 거듭나다  (0) 2023.11.04

댓글


.myredbtn{ -webkit-text-size-adjust: 100%; word-break: break-word; background-color: #e00d0d; border-radius: 28px; border: none; display: inline-block; cursor: pointer; color: #faf8f8 !important; font-family: Arial; font-size: 20px; font-weight: 550; text-align: center; margin-left: auto; margin-right: auto; white-space: nowrap; padding: 10px 35px; box-shadow: 2px 4px 6px #646363; text-shadow: 0px 1px 0px #bb2154; width: 80%; height: 40px; line-height: 40px; overflow: hidden; transition: background 0.3s, transform 0.3s; text-decoration: none; } .myredbtn:hover{ transform: scale(1.05); background-color: #fc6565; text-decoration: underline; }